학술논문
중·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
이용수 701
- 영문명
- Exploring the Changes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Quality and Students’ Motivational States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Middle to High School Yea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성(Kim, Minseong) 신택수(Tacksoo Shin) 허유성(Yusung He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795~82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내에 구분되는 유형의 존재여부와 학년에 따른 유형 간 이동양상, 교사-학생관계 유형에 미치는 성별, 고교유형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학생관계의 유형에 따라 학습동기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조사2005 3-5차년도(2007-2009년도) 연구에 참여한 5,347명 학생의 중3-고2시기 종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학년별로 세 개의 구분되는 교사-학생관계 유형(상위, 중간, 하위집단)을 확인하였고, 대부분 학생이 ‘보통’ 수준의 중간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생관계 유형 간 이동은 중3-고1 시기 하위집단이 중간집단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중간집단이나 상위집단의 경우 계속 동일한 집단에 머무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고1-고2 시기는 상위집단에서 중간집단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이전 시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학생관계 유형에 미치는 성별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고교유형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였다. 교사-학생관계의 유형에 따라 상위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학습동기에서 더 긍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의 교사-학생관계의 개선과 고등학교 진학 시기 긍정적인 교사-학생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의 교육적 조치와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t cluste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inter-cluster movement, and the effect of gender and high school track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uring transitions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data of 5,347 students from 9th to 11th grade, there were three cluste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uch as ‘high’, ‘middle’ and ‘low’ level groups. Most students belonged to the middle level group. The movement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lusters was made in a positive direction from low level to middle level group between 9th and 10th grade. However, from 10th to 11th grade, the movement from high to middle level groups were higher than before, indicating a more negative direction. The effects of high school track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lusters were significant. The high level group showed more adaptive motivational orientation to learn than other groups. The findings showed the needs of school-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 to foster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hen students starts high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결과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놀이지도’ 교재 내용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들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BPSD 간호부담감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델 설계
- 성인전기 여성 학습자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텍스트 분석 기반 질문 자동 생성 프레임워크
- 역할극을 활용한 항공객실서비스 영어 교수·학습 모형 연구
- 대학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저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조절효과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준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창업교육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력제고연구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형에 따른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조부모와 양육 아동의 유대감과 상호작용 형성을 위한 협동 미술체험 프로그램 개발
- 평생학습공간으로서의 협동조합
-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15호 목차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해석 양상 연구
- 중학교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의 백워드 설계
- [논문철회] An Explora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Perspectives on Flipped Learning
- 통합운영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대학생의 개인적 가치, 대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창의적 인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연산 내용 분석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방글라데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의 효과
-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대학생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공동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 경험 탐색
- 만 5세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화법에 대한 사례연구
- 친구들과의 노는 시간과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적 경험 탐색을 통한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요구 분석
-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무례함과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사경고와 극복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 연구
-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재직자 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 메이커 교육 평가 루브릭 개발에 관한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 K-MOOC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의 관계 분석
- 실감형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과 활용 전망 분석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정형 표현 오류 연구
-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성인기의 노인돌봄태도 영향 요인
- 중·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
- 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학업수준에 따른 수업효과 인식
- 체육교과에서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초등 교사들의 IPA 인식 연구
- 전신진동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구성과 학생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거문고 연주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초등학교 가창 제재곡 연구: 월별 학교 행사를 반영하여
- 학부모 악성민원과 교권침해 문제의 재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