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성인기의 노인돌봄태도 영향 요인
이용수 290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toward Care of the Elderly in Early Adultho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선아(Whang Sun A) 양인숙(Yang In-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1207~12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집단을 대상으로 노화에 대한 지식, 노인 접촉 경험, 노화불안, 노인 돌봄 태도를 파악하고, 노인 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설계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2018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노화에 대한 지식, 노인 접촉 경험, 노화불안 및 노인 돌봄 태도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가 기입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0세에서 44세에 해당하는 초기 성인기 대상 218명의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노화에 대한 지식, 중정도의 노인 접촉 경험과 노화불안, 다소 높은 노인 돌봄 태도를 나타냈다. 모델은 노인 돌봄 태도에 61.2%의 설명력을 보였고(F=115.07, p<.001), 예측 변인 가운데 노인 접촉 경험(β=0.56, t=9.33, p<.001)과 노화불안(β=-0.26, t=-4.24, p<.001)이 노인 돌봄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접촉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노화불안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노인 돌봄 태도를 보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초기 성인기 집단이 노인 돌봄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노화에 대한 지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아닌, 이들의 노인 접촉 빈도와 질을 향상시키고, 노화과정과 관련된 불안을 줄일 수 있는 전략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nowledge about aging,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ging anxiety, and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among early adulthood. Descriptive correlational and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Data collected from Jan. 2018 to Jan. 2020,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nowledge about aging,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ging anxiety, and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A total of 218 subjects who were early adulthood aging from 20 to 44 were recruited. The data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bjects showed relatively low knowledge about aging, moderate level of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nd aging anxiety, and moderately high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The overall model significantly explained 61.2% of variance in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F=115.07, p<.001). Among predictors,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β=0.56, t=9.33, p<.001) and aging anxiety (β=-0.26, t=-4.24, p<.001)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ore positive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nd less aging anxiety,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strategic programs to improve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contact with the elderly and reduce anxiety related to the aging process in order for the early adulthood group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놀이지도’ 교재 내용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들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BPSD 간호부담감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델 설계
- 성인전기 여성 학습자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텍스트 분석 기반 질문 자동 생성 프레임워크
- 역할극을 활용한 항공객실서비스 영어 교수·학습 모형 연구
- 대학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저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조절효과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준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창업교육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력제고연구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형에 따른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조부모와 양육 아동의 유대감과 상호작용 형성을 위한 협동 미술체험 프로그램 개발
- 평생학습공간으로서의 협동조합
-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15호 목차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해석 양상 연구
- 중학교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의 백워드 설계
- [논문철회] An Explora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Perspectives on Flipped Learning
- 통합운영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대학생의 개인적 가치, 대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창의적 인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연산 내용 분석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방글라데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의 효과
-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대학생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공동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 경험 탐색
- 만 5세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화법에 대한 사례연구
- 친구들과의 노는 시간과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적 경험 탐색을 통한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요구 분석
-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무례함과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사경고와 극복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 연구
-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재직자 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 메이커 교육 평가 루브릭 개발에 관한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 K-MOOC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의 관계 분석
- 실감형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과 활용 전망 분석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정형 표현 오류 연구
-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성인기의 노인돌봄태도 영향 요인
- 중·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
- 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학업수준에 따른 수업효과 인식
- 체육교과에서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초등 교사들의 IPA 인식 연구
- 전신진동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구성과 학생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부모 악성민원과 교권침해 문제의 재검토
- 가정-지역사회 연계 부모교육과 자조모임에 근거한 마음가치 부모성장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경감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중심으로
- 역량 중심 초등학교 학부모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교사 요구도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