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0
- 영문명
-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승선(Baek SeungS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751~7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도와 J도에 소재한 3년제와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335명 이었다.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에 대한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보다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를 예측하는 강력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중 목표선택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낙관적 태도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중 직업정보가 추가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Study subjects were 335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 or 4-year universities in C-do and J-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udy tools of ego-resilience ,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 and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Second,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a more powerful positive predicting variable that predicting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was no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bu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among the sub-variab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goal selection, a sub-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 most powerful predicting variable, and it was followed by an optimistic attitude, a sub-variable of ego-resilience. In addition, occupational information, a sub-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nother variable that predic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Study findings show the fact that there are close rela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놀이지도’ 교재 내용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들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BPSD 간호부담감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델 설계
- 성인전기 여성 학습자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텍스트 분석 기반 질문 자동 생성 프레임워크
- 역할극을 활용한 항공객실서비스 영어 교수·학습 모형 연구
- 대학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저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조절효과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준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창업교육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력제고연구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형에 따른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조부모와 양육 아동의 유대감과 상호작용 형성을 위한 협동 미술체험 프로그램 개발
- 평생학습공간으로서의 협동조합
-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15호 목차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해석 양상 연구
- 중학교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의 백워드 설계
- [논문철회] An Explora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Perspectives on Flipped Learning
- 통합운영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대학생의 개인적 가치, 대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창의적 인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연산 내용 분석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방글라데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의 효과
-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대학생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공동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 경험 탐색
- 만 5세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화법에 대한 사례연구
- 친구들과의 노는 시간과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적 경험 탐색을 통한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요구 분석
-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무례함과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사경고와 극복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 연구
-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재직자 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 메이커 교육 평가 루브릭 개발에 관한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 K-MOOC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의 관계 분석
- 실감형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과 활용 전망 분석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정형 표현 오류 연구
-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성인기의 노인돌봄태도 영향 요인
- 중·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
- 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학업수준에 따른 수업효과 인식
- 체육교과에서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초등 교사들의 IPA 인식 연구
- 전신진동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구성과 학생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