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이용수  29

영문명
Implications of Change in General Chemistry Curriculum at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보경(Lee, Bokyou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341~36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양교육이 보편화된 미국의 대학에서 일반화학을 포함한 기초과학 교육은 교양교육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20세기 이후 국가수준에서 일반화학 교과과정 개선안이 여러 차례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미국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개편의 사례를 고찰하여 변화의 방향과 쟁점을 도출하 여 제시하였다. 미국 대학의 일반화학 교과과정은 20세기 초 서술화학에서, 1950년대 개념과 이 론 중심의 지식체계로, 1990년대 이후 사회적 맥락과 탐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한 세기 동안의 긴 개편 과정에서 화학의 기본이 되는 핵심 아이디어를 다양한 맥락에서 도출하여 일반화학 교과 내용의 표준으로 정립된 측면이 있고, 수강생의 다수를 차지하는 비전공자의 동기 와 기대에 대한 고려가 점차 강화된 측면이 있다. 지난 한 세기 동안 미국대학 일반화학 교과과 정 개편의 함의는 일반화학 교과과정이 지식 체계로서 측면뿐 아니라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도 동 시에 강조하고, 개인의 삶과 사회에서 화학의 역할과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 요함을 시사한다. 이의 실현을 위해서는 광범위한 개념이나 이론을 다루기보다는 핵심 아이디어 중심으로 개념의 연계와 사회적 맥락이 드러나도록 다시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국내 대학의 일 반화학이 여전히 지식 전달에만 치중한 것에 대한 반성적 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Since the basic science education including general chemistry is a key el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American universities where liberal arts education has been prevalent, many revisions of general chemistry curriculum have been announced at the national level since the 20th century. This paper examines the curricular review of general chemistry in the United States and draws out the trends and issues of change. The general chemistry curriculum of American universities has been changed from the descriptive inorganic chemistry in the early 20th century to conceptual and theory based knowledge system in the 1950s, and to contextual and inquiry based chemistry in 1990s. In the reorganization over the course of the century, the core idea of chemistry has been derived from various contexts and has been established as a standard of general chemistry contents. Consideration for motivation and expectations of non-students has increased over time. The implication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general chemistry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century have been that the general chemistry curriculum emphasizes not only the aspects of chemistry as a knowledge system but also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and the role and value of chemistry in individual life and society. In order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onceptual and the social context, rather than focus on the broad concepts or theorie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fact that the general chemistry courses of Korean universities is still focused on the knowledge itself.

목차

1. 서론
2. 본문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경(Lee, Bokyoung). (2018).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교양교육연구, 12 (6), 341-361

MLA

이보경(Lee, Bokyoung).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교양교육연구, 12.6(2018): 341-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