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learning competencies a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남희(Kim, NamHee) 정미애(Jung, Mie-A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41~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과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학습성과에 대해 조사하여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총 704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여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 석,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교양수업 담당 교수들이 다양한 수업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강의 의 질에 대한 인식도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고차원 능력의 강조에 대한 인식은 다른 지표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양교육을 통해 팀원으로 활동하는 능력이 배 양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능력에 기여하였다고 인식하는 정 도가 뒤를 이었다. 반면, 수리적 문제 분석, IT자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대한 교양교육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보통 정도를 보여주었다. 셋째,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표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상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양 교육과정, 학습활동, 학습 성과 및 교육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서 교육만족도와 교육과정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몇 가지 점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수업 방식 및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적평가 방법의 다양화와 적정성 및 과제에 대한 피 드백 제공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수리적 문제 분석 능력, IT자 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교양교육의 기여정도가 많지 않다고 인식하 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의 개설 및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아 울러, 교수의 강의의 질 및 교수와의 교류가 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 로 나타났으므로 교수자는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 강의 내용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 적절하고 충분한 학습 자료의 제공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704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teaching and a variety of methods used by instructors of general education was positive. Second, students’ high-order competencies showed lower than the other competencies. The competence of cooperation with others was high while the perceptions on the learning outcomes of competence of mathematical problem analysis, usage of the perceptions IT resources, globalization, and employment were low. Third, the overall satisfaction on general education was medium. Third, compared wit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e levels of all the factors in this current study were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general education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tudent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and feedbacks on assignments and tasks should be provided. Third, courses for improving competences of high-order problem solving, and usage of IT resources need to be offered. In addition, sinc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students’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highly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boos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viding efficient methods for explaining course contents, and supporting adequate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취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반복 대화체 쉐도잉(Shadowing) 학습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발음향상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 언어 장벽을 경험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피드백 기반 수업의 활용
-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 대학생들의 문제해결성향에 대한 음악흥미도와 공감능력의 영향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 요인 탐색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및 인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