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43

영문명
A Case Study on DUTE3.0 Writing Education Using the Moodle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박호관(Park, Ho-gwan) 전용숙(Jeon, Yongsook)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217~2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글쓰기와 관련한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하여 D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글쓰기 기초> 수업의 최근 3년간(2015~2017)의 성과를 검토하고, 그 한계를 보완하여 대학에서 실현가능한 ‘DUET3.0’글쓰기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D대학이 2015년부터 구축해 온 <글쓰기 기초> 교과목의 플립러닝은 무들을 기반으로 하여 시스템 용량 문제, 부족한 수업 시수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간적 한계를 초월한 자기 주도적 학 습 가능성을 열었다. 특히 2015년 수업 후 제시된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실 연계 수업의 필요성, 교재의 내용과 플립러닝 콘텐츠 사이의 유기성에 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2017년 2학 기에는 무들 기반 플립러닝 콘텐츠를 염두에 두고 교재를 제작하고 강의실 수업 후 복습까지 설 계함으로써 온 오프라인의 두 수업이 긴밀하게 연계되도록 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모델’은 개념 이론 등을 플 립러닝 영상으로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수업 중에는 이론과 관련한 활동을 직접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복습 역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즉 ‘무들, 수업, 교재’를 체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학생 중심 블렌디드러닝을 추구하고 있는 셈이 다. 이에 ‘학습자 중심 학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DUET3.0 글쓰기 교육 모델’은 전국 각 대 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선도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class that had been operated by D University over the last 3 years(from 2015 to 2017)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associated with writing and to propose the DUET3.0 writing education model feasible for application to universities by reducing the limitations of aforesaid class. The flipped learning of curriculum, which began to be established by D University from 2015, resolved the problem of system capacity and lack of hours allocated to learning based on the moodle, and furthermore, opened up the possibility for self-initiated learning transcending th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s. In particular, the flipped learning of curriculum may represent an advancement, given that it enabled close link between online class and offline class through production on education materials with a focus on the moodle-based flipped learning contents by actively embracing the opinion, presented after classes in 2015, which highlighted the link between online classroom and offshore classroom, while considering the relevance between contents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hose of flipped learning and designing even the review study after classroom lectur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DUET3.0 writing education model , which used the mooddle as above, allowed students to maintain self-initiated learning in acquiring the knowledge of concepts, theories, etc., via the flipped learning imaging, and to directly perform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ories during the class. Moreover, the moodle, clas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structured systematically, which could be used by students during the review study in a self-initiated manner, thereby pursuing the student-centric blended learning. Thus, DUET3.0 writing education model is expected to serve as a leading model in the writing education of each university nationwide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based on learner-centric learning.

목차

1. 서론
2. 대학 글쓰기 교육의 플립러닝 도입
3. 무들 글쓰기 온라인 교육 시스템 구축
4. DUET3.0 글쓰기 교육 모델 구현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호관(Park, Ho-gwan),전용숙(Jeon, Yongsook). (2018).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2 (6), 217-244

MLA

박호관(Park, Ho-gwan),전용숙(Jeon, Yongsook).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2.6(2018): 217-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