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이용수  54

영문명
A Study of methodology on operation a creative learning course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 Focused on Case Study of 「Phronesis Seminar Ⅱ: Creative Challenge & Self-Impro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정연재(Jeong, Yeon Ja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95~11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계가 도저히 할 수 없는 영역만이 고등교육의 영역으로 남게 될 것 같은 강력한 불안감 속 에서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가르칠 것인가”라는 질문은 대학이 설립된 이후 가장 무거운 질문으 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예측가능한 사회를 전제로 이루어졌던 지식전수형 교 육의 무용성이 강력하게 대두됨에 따라, 예측불가능한 미래시대에 적실한 교육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더욱 첨예하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바로 여기서 출발한다. 창의 융복합적 사고와 도전정신 함양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의 일환으로 현재 일부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창의학습교과목의 방향과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인하대학 교 교양교과목 가운데 하나인 「프로네시스세미나 Ⅱ: 창의도전과 자기계발」 사례연구를 통해 창 의학습교과목의 학습목표 및 방향, 운영절차, 학습성과를 정교하게 분석할 것이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학문적 관심과 새로운 교육적 경험을 확장시키고, 창의적 사고와 도 전정신을 증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 교과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 은 학습과정 전반의 주도권을 쥐게 되고, 동료들과의 협업을 통해 학습경험을 축적해나간다. 창 의학습교과목의 핵심은 학생들 스스로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통해 내적 성숙을 도모하고, 사회 속에서 자신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여 세상을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비축하는 것이 다. 진정한 자기실현이야말로 이론적 지식 확보과 실천적 활용의 균형 속에서 자기 자신만의 고 유한 능력을 통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결국 교육은 학생들 스스로 학문탐구의 주체 가 되는 창의교육이 그 중심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how best to promote and enhance effective creative learning course which is regarded as an innovative education model beyond the limit of traditional knowledge transmission model of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is a descriptive case study of Phronesis Seminar Ⅱ: Creative Challenge & Self-Improvement , which is a general course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at Inh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ugment their academic interests and new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 promote convergent thinking and challenge spirit. During this course, students will take initiative for all stages of the learning process and acquire learning experience in collaboration with peers. This study is suggestive that successful creative learning course requires certain responsibilities or roles of both students and teacher.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student-initiated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creative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자기주도학습의 맥락에서 본 창의학습교과목의 방향
3. <프로네시스세미나 Ⅱ: 창의도전과 자기계발> 운영 사례
4. 교과목 성과 분석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연재(Jeong, Yeon Jae). (2018).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12 (6), 95-114

MLA

정연재(Jeong, Yeon Jae).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12.6(2018): 95-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