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이용수  104

영문명
Need Analysis of Foreign Undergraduates for Blended Learning : Focusing on the subject Thingking and Writing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오선경(Oh, Sunkyung) 이선영(Lee, Sunyoung) 류선숙(Ryu, Seonsuk) 한하림(Han, Halim)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143~16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K대학교 의 블렌디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 성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K대학교의 은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강 의로서, 지금까지는 면대면 방식의 교실 수업으로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학습자마다 이해 능력 이 상이하며 수업 시간 또한 한정되어 있어, 교실 수업만으로는 한국어 숙달도를 기르고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부생이 시간과 장소에 구 애 받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고 기존의 교실 수 업에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는 블렌디드 한국어 교육과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을 듣고 있는 외국인 학부생 281명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 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6.2%의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을 추가적으로 개설하는 것 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온라인 수업 개설에 찬성한 학습자의 60%가 온라인 수업이 교 실 수업의 예습 및 복습으로 활용되는 형태를 선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실 수업의 교육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기로 하였으며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수업 절차를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to develop the blended Korean language course of subject. This subject is Korean language lecture for the undergraduates from foreign countries, and so far it has only been conducted as face-to-face classroom instruction. However, since each learner has different understanding ability and the class time is limited, there is a limit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bility only by classroom instruction. In this paper, we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to enable the undergraduates from foreign countries to learn Korean language on their own initiativ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apply the blended Korean language course which utilizes online classes to the classroom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need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blended Korean language courses for 281 undergraduates from foreign countries attending subject. As a result, 66.2% of learn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opening of the addition of online classes. In addition, 60% of the learners who wanted the online classes preferred the form of the online class utilized for the preparation and review of the classroom instruction. This study decided to utilize the online class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lassroom instruction, and suggested the divided instructional process utilizing the blended learning into the understanding area and the expression area.

목차

1. 서론
2. 블렌디드 러닝과 한국어 교양 교육
3.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4. <사고와표현> 블렌디드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및 수업 절차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선경(Oh, Sunkyung),이선영(Lee, Sunyoung),류선숙(Ryu, Seonsuk),한하림(Han, Halim). (2018).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교양교육연구, 12 (6), 143-166

MLA

오선경(Oh, Sunkyung),이선영(Lee, Sunyoung),류선숙(Ryu, Seonsuk),한하림(Han, Halim).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교양교육연구, 12.6(2018): 14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