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tilization of feedback based teaching to help foreign students who experience language barrier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진(Seon Jin Park) 백설향((Seolhyang Baek) 구본석(Bon Seog Gu) 이태성(Tae Sung L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수년간 국내 고등교육 기관으로 유입하는 외국인 유학생 수는 급증하고 있다. 외국인 유 학생들은 한국과는 상이한 문화권에서 중등교육과정 까지를 경험하였으며, 배경지식 수준이 한 국의 대학생과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한국어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 는 이들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교재, 수업방법, 피드백 등 차별화된 교수 설계가 필요하며, 이들 을 위한 교양교육은 향후 자신의 전공과 연계된 배경지식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피드백 기반 수업 사례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수업에 있어서 수업 전, 중, 후, 그리고 평가 시에도 피드백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수자는 전공 지식을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교수 능력과 더불어 수업의 전반을 조직하고, 학생 참여를 이끌어, 학습 욕구를 장려하는 학습 관리자로서의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피드백 교수 사례를 외국인 유학생 기초 교 과목에 적용하여 향후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보편적인 수업 진행 방안을 마련하여 수업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re has been rapid increase in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tering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These foreign students had experienced secondary education in their country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culture. Their Korean language is limited in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Also, they have different level of background knowledge compare to ordinary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university requires to build a new learning materials, teaching methods, feedbacks and etc to meet the needs of foreign students knowledge and Korean skills. Moreover, it is essential to design liberal education in terms of supporting and relating to their major study. This research has verified teaching based on feedback, not only in class but prior and post, has significant impact on foreign students improvement. Through this research, it proves that teachers are required to obtain skills to organize lecture, draw students attention, and most importantly develop students motivation. This research provides how feedback is used through out the liberal education and how it effected students. This method, in strong belief, creates far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students and improves quality of education itself.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적 장벽을 고려한 수업의 필요성
3. 피드백을 적용한 수업의 설계
4. 피드백 기반의 수업 운영 사례
5. 피드백 기반의 평가
6.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취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반복 대화체 쉐도잉(Shadowing) 학습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발음향상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 언어 장벽을 경험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피드백 기반 수업의 활용
-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 대학생들의 문제해결성향에 대한 음악흥미도와 공감능력의 영향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 요인 탐색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및 인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