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ritical Cognition and Self-Expression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조남민(Cho, Nam Mi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195~2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미디어 리터러시라 일컫는 광범위한 분야 중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 련된 것으로 한정하고, 이것이 대학이라고 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 이상적인 교양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한 것이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그간 발전되어 온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의 기초 설계와 교육 방 안을 제시한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대학생의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 즉 올바른 비판 적 인지 능력과 올바른 자기표현(assertiveness)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 음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논의에서 다루는 미디어 리터러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전달되는 디지털 콘텐츠는 물론 프 린트 미디어, 즉 신문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미디어를 기반으로 전달되는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 둘 모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효용이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미디어 리터러 시 교육의 목표는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콘텐츠의 편향성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혜안을 기르 는 것 또한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고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뉴스, 기사, 다큐멘터리, 사설 등 과 같이 우리를 둘러싼 사회 문제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하고, 내용 분석을 통해 핵심과 문제점을 발견함으로써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 불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 올바른 사회적 파급력을 갖도록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 식을 습득하게 하고, 내적으로는 자기표현을 실현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교양교육의 한 방안으로 수용했을 때 궁극적으 로 도달해야 할 교육 목표와 이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위한 기초 설계, 그리고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 행동의 변화 양상에 대한 논의로 구성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as an educational tool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edia literacy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en this study presents the curriculum basic design and education pla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prove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an be a useful educational tool to improve learners’ critical thinking and self-expression abilit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broad areas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types of media, this article includes both analog media and digital contents as the object of the research. Analog media includes traditional printed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digital contents includes contents delivered on the internet base. By having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media, this study aims to educate perspectives which could identify and mitigate any bias due to the difference of delivery modes.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ncludes news, articles, documentary, editorial, and so on. Also, in terms of the topics of the contents, the focus is on social problem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tudy, a proposed curriculum basic desig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empirical analysis of changes in learners’ behavior before and after media literacy training.
목차
1. 서론
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개념
3. 교양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과 그 효과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취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반복 대화체 쉐도잉(Shadowing) 학습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발음향상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 언어 장벽을 경험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피드백 기반 수업의 활용
-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 대학생들의 문제해결성향에 대한 음악흥미도와 공감능력의 영향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 요인 탐색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및 인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