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to College : A Preliminary Study of Course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영(Lee, Sunyoung) 나윤주(Na, Yoonjo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167~19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를 조사하여 유학생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 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한 대학교에서 외국인 유학 생 13명, 유학생 중점학과 교수 3명, 한국인 학생(튜터) 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 행하였고,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한 후 학업능력 수준과 학업수행 어려움에 대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전공교수, 한국학생, 외국인 유학생 모두 유학생들이 전공학업을 수행할 만큼 학업이행 수 준이 높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능력 수준은 학업을 수행하는데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능력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응 과정에서 출석이나 학업태도 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업수행 영역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 생의 학업적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에는 학업수행에 필요한 학업기술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하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시기를 제언하여 학업적응 교과목 개발의 방향성을 제 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course development to support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by examining their academic adjustment. For this purpose, 13 international students, 3 professors of foreigner majority majors, and 9 Korean students(tutor) were interviewed first, then a survey developed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asked international students about learning status, learning ability, and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n underprepared state to achieve major related education achievement. Also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erception that all aspects related to learning adjustment were difficult with the exception of some learning skills of indirect affected to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skill education needs to be made by the university that will embrace international students upon the freshmen.
목차
1. 서론
2. 연구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취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반복 대화체 쉐도잉(Shadowing) 학습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발음향상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 언어 장벽을 경험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피드백 기반 수업의 활용
-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 대학생들의 문제해결성향에 대한 음악흥미도와 공감능력의 영향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 요인 탐색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및 인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