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n New Frame of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손종현(Son, Jong-hyu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6호, 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근본적 능력’에 대한 신뢰와 그 능력의 신장에서 교양교육을 개념화한다. 인간 은 본래적으로 ‘근본적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인간은 스스로 개념을 형성하여 세계를 읽는 능 력(지성)과, 서로 의지해서 사는 믿음의 도덕을 형성하는 능력(도덕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자는 이 두 가지 능력을 ‘근본적 능력’이라 개념화 한다. 인간은 이 능력을 가지고 자기 앞가림을 하면서 생존체계를 구축한다. 교양교육은 근본적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둘째. 교양교육의 프레임을 전환해야 한다. 교양교육이 겨냥하는 새로운 프레임의 지향은 다음 과 같다. 큰 틀에서, 학습기술 교양교과목 중심에서 문화유산 및 세계이해 중심 교양교과목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암기 - 시험상황 - 시험능력 - 실무기능·취업’의 가치도식을 해체하고, ‘이해 와 탐구의 경험 - 학습상황 - 학습능력 - (삶의 무대) 직업세계 창출’의 가치도식으로 전환한다.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상에서, 교양교육은 대상세계에 대한 이해와 탐구의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 편으로, 주제몰입의 경험과 ‘프로젝트 기반의 협력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셋째, 교양교육에 대한 책임교육의 일상화가 요구된다. 대학은 전공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교 양에 대해서 책임 있는 교육을 추구해야 한다. 그 기초 위에서 교양교육의 효과에 대해 어떻게 책 임지겠다는 것을 분명하게 약속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ew frame of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so far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liberal education from the belief on fundamental abil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Human beings are originally born with fundamental ability . They have the ability to form the concept themselves and to read the world(intelligence), and the ability to form the morality of belief in living with each other(morality).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these two abilities as fundamental abilities . Human builds a survival system with these abilities and overcomes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living. Liberal education is to develop the fundamental ability. Second. liberal education should pursue to the new frame. The new frame aimed at liberal education is as follows. In the macro frame, it need to be changed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from ‘learning skills’ to ‘cultural heritage’ and ‘world understanding’. The present value scheme of rote learning - test situation - test ability - practical function·employment shifts to the value scheme of understanding and inquiry experience - learning situation - learning ability - creating job world .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he liberal education provides experience of theme immersion and experie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project as a methodology to develop understanding and inquiry ability of real world. Third, the responsible education for liberal education is required. Universities should pursue the education that is responsible not only for their majors but also for liberal arts. On that basis, universities should clearly promise to the responsibility of effect on liberal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왜 새삼스럽게 교양인가?
3. 왜 새로운 교양교육인가?
4. 왜 책임 있는 교양교육인가?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취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반복 대화체 쉐도잉(Shadowing) 학습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발음향상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 언어 장벽을 경험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피드백 기반 수업의 활용
-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창의학습교과목 운영방안 연구
- 대학생들의 문제해결성향에 대한 음악흥미도와 공감능력의 영향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 요인 탐색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및 인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