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중심교육의 실천을 위한 반성적 고찰
이용수 1,338
- 영문명
- Reflections for a truly learner-centered education - based on Scott Nearing s educational philosoph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민영(Jung, MinYoung) 김영환(Kim, YoungHw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615~6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교육계는 교육문제를 개선하고 바람직한 변화를 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해왔고, 교사중심으로부터 학습자 중심으로의 전환은 그 핵심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한국 교육계에서 주목받지 못해왔던 Scott Nearing의 교육사상에 근거하여 학습자중심교육의 실천에 관련된 반성적 고찰을 통해 개선방안의 탐색을 지원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스스로 지식을 습득하고 삶을 살아가는 역량 강화를 증진하기 위해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둘째, 지나친 지식전달·암기식 교육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 셋째, 학생과 학생 간 지나친 경쟁구도 및 교사중심 교육과 관련한 교사 역할의 새로운 논의를 위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연구방법은 텍스트 다시 쓰기이며, 연구자료는『새 교육』및 관련 저서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삶을 살아가는 역량 함양을 교육 목적으로 두어야 한다. 둘째, 학교는 교육 및 사회의 장(場)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가 지녀야 하는 책임과 역할의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Scott Nearing의 교육사상은 그간 단편적이고 획일적이었던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을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학습자중심교육으로 변화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었다.
영문 초록
Korea’s education thinkers have contemplated various ways to resolve problems in current education and bring about chang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One important paradigmatic shift made in this process was the transition from teacher-centered educ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Recognizing the centrality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support the nurturing of this new education paradigm by examining ways in which Scott Nearing’s educational philosophy - one that has not been quoted by Korean academia enough - can be applied. Specifically, the values of homesteading practice and reflective contemplation have been examined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is deemed that these concepts can fill the gap of the exhaustive research that is still needed to enable learners to autonomously acquire knowledge and nurture capabilities that enable them to live a better life. Second, the implications of Nearing’s philosophy can propose ways to reduce the reliance of current education on unilateral communication and wrote-memorization. Third,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suggest a new approach to mitigate over-heated competition among learners, and propose a new role for teachers within the existing framework of teacher-centered education. Utilizing text rewriting to dissect Nearing’s voluminous literature on education including The New Education (1915), this study presents three main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education should be to foster the learner’s life-capabilities. Second, the institution of school should serve both purposes of education and socialization. Third, understanding of a new set of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eachers as educators is needed. Overall, Scott Nearing’s educational philosophy presents meaningful pointers for the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Korea’s fragmentary and uniform schooling system into a truly learner-centere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분석자료 및 연구방법
Ⅳ. Scott Nearing 교육사상
Ⅴ. 학습자중심교육에 주는 시사점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과의 관련성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등학교 농구부 학생선수 진로선택 정보
- 학습전략이 교과태도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권감수성 및 아동인권인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사의 직무 역량과 역량 기반 교육 방안 탐색
- 학생들의 음악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연주비평 용어 분석
- ‘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입학자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수시전형 입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 민주시민역량 증진을 위한 인성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 모듈 연구
-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삶의 의미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 임종 돌봄 태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 평가연구 분석
- 미술감상교육의 유추능력 증진 효과와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교과과정화 방안 연구
- 국내 교육 분야의 게임화(Gamification) 연구에 관한 문헌 고찰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대학원 유학생 석사학위논문의 ‘이론적 배경’ 구성에 관한 일고찰
- 과학탐구교육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R 패키지 활용 상세서지 빅데이터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세먼지 관련 교육현황 및 교사인식
- 중등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들뢰즈 철학에 기초한 대안적 유아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 미디어 분석과 비평적 글쓰기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과 창의적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연주전공생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연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대학생 학습자 대상의 글쓰기 프로젝트 학습 방안 연구
- 학습상황에 따른 한국학습자들의 영어공손책략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실태 분석
-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에 기초한 간호대학 신입생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Promoting Familiarity with the Present Perfect through Advice Columns
- 동시를 활용한 프랑스어 쓰기 교육
- 현대 한국어 ‘귀찮다’,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의미 분석
- 예비유아교사 대상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질문중심 수업이 예비영어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 핵심역량개발 사례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고등학생들의 이야기 “대학은 가라면서..”
- 성인용 공격성 기능 척도의 개발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생부 종합전형 인성역량에 대한 인식연구
-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비교연구
- 공립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의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 팀기반학습을 활용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 대학별고사의 과학과 논술 문항 출제 영역 분석
- 미래교육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등교사 양성제도비교
-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 한국어 회화 교육을 위한 프로세스 드라마의 도입과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동료 평가에 나타난 동작 교과교육학지식(PCK)
- 메타포(metaphor)를 활용한 부모의 놀이신념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 연구
- 사회정의교육의 개념과 방향
- 교육과정연구에서의 해체적 방법론의 적용과 그 가능성의 탐색
- 완벽주의 군집에 따른 능동적 학업 지연 및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 학습자중심교육의 실천을 위한 반성적 고찰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