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이용수 1,276
- 영문명
- Comparison of brain activity characteristics of readers in print and smartphone text reading situations: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f-NI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희정(Baek Hee-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283~3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를 읽기 상황에서 뇌 활성도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6명이며, 2019년 10월 17일 하루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장소는 세종시 D초등학교 다목적실이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을 활용하여 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뇌 활성도 측정은 OBELAB사의 NIRSIT(2019,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측정한 데이터는 연동 분석소프트웨어인 NIRSIT analysis too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를 읽을 때 좌우반구 뇌가 균형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브로카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둘째,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를 읽을 때 동기적 추동과 관련한 뇌 영역이 모두 활성화되었다. 셋째, 인쇄 텍스트 읽기에서 목표 지향적이고 사회적 인지에 기반한 의사 결정이,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에서는 정보의 탐색과 통합이 인지 처리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정서적 조절을 통한 합리적 이해를 추구하는 경향이 인쇄 텍스트 읽기에서 나타났다.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에 비추어 국어 수업에서 교사가 갖는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변화할 수 있으며, 문식 매체를 선택함에 있어 개별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 매체 사용 경험을 고려해야 할 당위성을 재고할 수 있고, 문식 매체 선택 기준에 타당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변화 중인 문식 환경을 고려한 교육 내용이나 방법,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어 실증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compare brain activity characteristics in situations wh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 print text and smartphone tex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sixth-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ed a one-day experiment on October 17, 2019. The experiment site is a multi-purpose room for D Elementary School in Sejong City and the brain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functional Near Ultraviolet Spectrum Method (f-NIRS). The brain activity measurement was conducted using OBELAB s NIRSIT (2019, Korea), and the measur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NIRSIT analysis tool, which is the interlocking analysis softw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when reading print and smartphone text, the left and right hemispheric brain was activated in a balanced manner, and the Broca area was activated. Second, when reading print and smartphone text, brain regions related to synchronous thrust were all activated. Third, goal-oriented, social-awareness-based decision making in print text reading, and the search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in smartphone text reading was used in cognitive processing. And the tendency to seek r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emotional adjustment emerged from print text reading.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teacher s use of digital media in Korean language classes could change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ason for considering individual learners motivation, interest and media use experience in selecting written media, and could give relevance to literary media selection criteria.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in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methods and environment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nging literary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과의 관련성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등학교 농구부 학생선수 진로선택 정보
- 학습전략이 교과태도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권감수성 및 아동인권인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사의 직무 역량과 역량 기반 교육 방안 탐색
- 학생들의 음악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연주비평 용어 분석
- ‘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입학자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수시전형 입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 민주시민역량 증진을 위한 인성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 모듈 연구
-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삶의 의미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 임종 돌봄 태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 평가연구 분석
- 미술감상교육의 유추능력 증진 효과와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교과과정화 방안 연구
- 국내 교육 분야의 게임화(Gamification) 연구에 관한 문헌 고찰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대학원 유학생 석사학위논문의 ‘이론적 배경’ 구성에 관한 일고찰
- 과학탐구교육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R 패키지 활용 상세서지 빅데이터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세먼지 관련 교육현황 및 교사인식
- 중등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들뢰즈 철학에 기초한 대안적 유아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 미디어 분석과 비평적 글쓰기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과 창의적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연주전공생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연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대학생 학습자 대상의 글쓰기 프로젝트 학습 방안 연구
- 학습상황에 따른 한국학습자들의 영어공손책략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실태 분석
-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에 기초한 간호대학 신입생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Promoting Familiarity with the Present Perfect through Advice Columns
- 동시를 활용한 프랑스어 쓰기 교육
- 현대 한국어 ‘귀찮다’,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의미 분석
- 예비유아교사 대상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질문중심 수업이 예비영어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 핵심역량개발 사례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고등학생들의 이야기 “대학은 가라면서..”
- 성인용 공격성 기능 척도의 개발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생부 종합전형 인성역량에 대한 인식연구
-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비교연구
- 공립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의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 팀기반학습을 활용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 대학별고사의 과학과 논술 문항 출제 영역 분석
- 미래교육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등교사 양성제도비교
-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 한국어 회화 교육을 위한 프로세스 드라마의 도입과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동료 평가에 나타난 동작 교과교육학지식(PCK)
- 메타포(metaphor)를 활용한 부모의 놀이신념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 연구
- 사회정의교육의 개념과 방향
- 교육과정연구에서의 해체적 방법론의 적용과 그 가능성의 탐색
- 완벽주의 군집에 따른 능동적 학업 지연 및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 학습자중심교육의 실천을 위한 반성적 고찰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