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이용수 133
- 영문명
- Awar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for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지숙(Kang Ji Sook) 박성지(Park Sung Ji) 김원정(Kim W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907~91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기관내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후 언어재활 전문가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J도 I시 소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로 총 462명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86.6%는 노인언어재활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98.3%는 노인언어재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이유가 가장 많았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51.7%는 모든 노인을 언어재활의 대상으로 해야 하고 치료분야는 표현향상이 79.3%, 이해향상이 71.4%로 타인과 의사소통의 문제를 꼽았다. 노인언어재활치료의 효과성은 90.9%가 높을 것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학문적 준비도에 대해서는 86.3%가 준비되지 않았다고 답하였고, 노인언어재활과 관련된 임상실습의 경험이 없으나 관련된 교육에 대한 참여의사는 간호대학생의 78%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fo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convenience sampling. After IRB approval exemption, there were 462 nursing students at I city in J provinc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aken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May 1st to September 30th, 2018.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awar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were calcula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86.6% of the participants did not know about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2) as the necessity, reason 98.3% were needed, 60.4% for the quality of life and 75.5% for improvement of expression language. 3) as a subject, the nursing students named 51.7% of the elderly in all and as the treatment field, 79.3% for improvement of expression language and 71.4% for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language. 90.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is high. 4) 86.3% of them were not ready for academic preparation. 99.4% students had no clinical experience. 68%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과의 관련성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등학교 농구부 학생선수 진로선택 정보
- 학습전략이 교과태도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권감수성 및 아동인권인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사의 직무 역량과 역량 기반 교육 방안 탐색
- 학생들의 음악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연주비평 용어 분석
- ‘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입학자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수시전형 입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 민주시민역량 증진을 위한 인성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 모듈 연구
-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삶의 의미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 임종 돌봄 태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 평가연구 분석
- 미술감상교육의 유추능력 증진 효과와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교과과정화 방안 연구
- 국내 교육 분야의 게임화(Gamification) 연구에 관한 문헌 고찰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대학원 유학생 석사학위논문의 ‘이론적 배경’ 구성에 관한 일고찰
- 과학탐구교육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R 패키지 활용 상세서지 빅데이터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세먼지 관련 교육현황 및 교사인식
- 중등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들뢰즈 철학에 기초한 대안적 유아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 미디어 분석과 비평적 글쓰기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과 창의적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연주전공생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연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대학생 학습자 대상의 글쓰기 프로젝트 학습 방안 연구
- 학습상황에 따른 한국학습자들의 영어공손책략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실태 분석
-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에 기초한 간호대학 신입생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Promoting Familiarity with the Present Perfect through Advice Columns
- 동시를 활용한 프랑스어 쓰기 교육
- 현대 한국어 ‘귀찮다’,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의미 분석
- 예비유아교사 대상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질문중심 수업이 예비영어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 핵심역량개발 사례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고등학생들의 이야기 “대학은 가라면서..”
- 성인용 공격성 기능 척도의 개발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생부 종합전형 인성역량에 대한 인식연구
-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비교연구
- 공립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의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 팀기반학습을 활용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 대학별고사의 과학과 논술 문항 출제 영역 분석
- 미래교육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등교사 양성제도비교
-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 한국어 회화 교육을 위한 프로세스 드라마의 도입과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동료 평가에 나타난 동작 교과교육학지식(PCK)
- 메타포(metaphor)를 활용한 부모의 놀이신념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 연구
- 사회정의교육의 개념과 방향
- 교육과정연구에서의 해체적 방법론의 적용과 그 가능성의 탐색
- 완벽주의 군집에 따른 능동적 학업 지연 및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 학습자중심교육의 실천을 위한 반성적 고찰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