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romoting Familiarity with the Present Perfect through Advice Columns
이용수 4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태현(Park, Taehy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1305~13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영어 원어민들이 다채로운 문맥 속에서 현재완료 시제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준 예비 연구 (a quasi-pilot study)에서 74명의 한국 EFL 대학생들은 사용하기에 어려운 문법 사항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았고, 동사 시제, 그 중에서도 현재완료 시제가 첫째로 꼽혔다. 영어 원어민 화자들의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쓰이는 현재완료 시제를 살펴보기 위해서, Ask Amy라고 불리는 상담 기사를 선정하였다. 상담 기사를 선정한 이유 중의 하나는, 이런 양식의 글에서 다양한 동사 시제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4장에서는 주어진 맥락 안에서 적절하게 사용된 현재 완료 시제의 용례들을 소개하고 설명하였다. 이어서 단순 과거 시제로 옮겨서 영어 원어민들이 이 두 시제를 어떤 맥락아래서 구별해서 각각 사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이 제시하는 바는, EFL 학습자들이 현재완료 시제의 효과적인 사용법을 배우는데 있어서 상담 기사가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나아가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법이 중추적인 역할을 맡는다는 점이 EFL 환경에서는 강조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d how native English speakers used the present perfect tense in a wide array of contexts. A quasi-pilot study asked 74 Korean EFL undergraduate students what grammatical items were difficult for them to use. Verb tenses, particularly the present perfect garnered the most vote. One advice column - Ask Amy - was chosen as authentic, real-world texts in which to see how the present perfect works in native English speakers’ daily lives. A primary reason for choosing advice columns is that they often brim with a variety of verb tenses. Chapter 4 demonstrated how to properly use the present perfect tense in given contexts. It also discussed the uses of the simple past to show when native English speakers choose the tense over the present perfect,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nses. This study illustrates that advice columns can be an excellent resource for EFL learners to learn how to effectively use the present perfect, thereby helping them realize that grammar plays a pivotal role in saying exactly what they mea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Previous studies: Why advice columns matter
Ⅲ. Method: A quasi-pilot study
Ⅳ. Findings: How the Present Perfect Work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과의 관련성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등학교 농구부 학생선수 진로선택 정보
- 학습전략이 교과태도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권감수성 및 아동인권인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사의 직무 역량과 역량 기반 교육 방안 탐색
- 학생들의 음악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연주비평 용어 분석
- ‘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입학자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수시전형 입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 민주시민역량 증진을 위한 인성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 모듈 연구
-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삶의 의미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 임종 돌봄 태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 평가연구 분석
- 미술감상교육의 유추능력 증진 효과와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교과과정화 방안 연구
- 국내 교육 분야의 게임화(Gamification) 연구에 관한 문헌 고찰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대학원 유학생 석사학위논문의 ‘이론적 배경’ 구성에 관한 일고찰
- 과학탐구교육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R 패키지 활용 상세서지 빅데이터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세먼지 관련 교육현황 및 교사인식
- 중등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들뢰즈 철학에 기초한 대안적 유아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 미디어 분석과 비평적 글쓰기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과 창의적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연주전공생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연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대학생 학습자 대상의 글쓰기 프로젝트 학습 방안 연구
- 학습상황에 따른 한국학습자들의 영어공손책략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실태 분석
-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에 기초한 간호대학 신입생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Promoting Familiarity with the Present Perfect through Advice Columns
- 동시를 활용한 프랑스어 쓰기 교육
- 현대 한국어 ‘귀찮다’,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의미 분석
- 예비유아교사 대상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질문중심 수업이 예비영어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 핵심역량개발 사례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고등학생들의 이야기 “대학은 가라면서..”
- 성인용 공격성 기능 척도의 개발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생부 종합전형 인성역량에 대한 인식연구
-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비교연구
- 공립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의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 팀기반학습을 활용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 대학별고사의 과학과 논술 문항 출제 영역 분석
- 미래교육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등교사 양성제도비교
-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 한국어 회화 교육을 위한 프로세스 드라마의 도입과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동료 평가에 나타난 동작 교과교육학지식(PCK)
- 메타포(metaphor)를 활용한 부모의 놀이신념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 연구
- 사회정의교육의 개념과 방향
- 교육과정연구에서의 해체적 방법론의 적용과 그 가능성의 탐색
- 완벽주의 군집에 따른 능동적 학업 지연 및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 학습자중심교육의 실천을 위한 반성적 고찰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