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이용수 677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승희(Lim Seung-hee) 이유미(Lee you-m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1399~14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398명과 일본 동경시 M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카이검증(χ²)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어머니의 경우,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바깥놀이 장애요인으로 환경요인을 가장 높게, 부모요인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또한 어린시절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이 많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 어머니의 경우,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바깥놀이 장애요인으로 환경요인을 가장 높게, 교사요인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어린시절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이 많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과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부모교육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ption of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mong 398 Korean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located at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216 Japanese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those located at M District in Tokyo, Japan. Collected data underwen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 verification (χ²) using SPSS 22.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erception of Korean mothers on playing outsid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was relatively high. They perceived environmental factor as the biggest obstacle for playing outside and perceived parent s factor as the smallest one. They tended to have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whereas they had less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Secondly, perception of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was high. They perceived environmental factor as the biggest obstacle for playing outside and perceived teacher factor as the smallest one. They tended to have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whereas they had also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Thirdly, percep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parent s education to activate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in our countr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과의 관련성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등학교 농구부 학생선수 진로선택 정보
- 학습전략이 교과태도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권감수성 및 아동인권인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사의 직무 역량과 역량 기반 교육 방안 탐색
- 학생들의 음악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연주비평 용어 분석
- ‘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입학자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수시전형 입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 민주시민역량 증진을 위한 인성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 모듈 연구
-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삶의 의미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 임종 돌봄 태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 평가연구 분석
- 미술감상교육의 유추능력 증진 효과와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교과과정화 방안 연구
- 국내 교육 분야의 게임화(Gamification) 연구에 관한 문헌 고찰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대학원 유학생 석사학위논문의 ‘이론적 배경’ 구성에 관한 일고찰
- 과학탐구교육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R 패키지 활용 상세서지 빅데이터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세먼지 관련 교육현황 및 교사인식
- 중등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들뢰즈 철학에 기초한 대안적 유아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 미디어 분석과 비평적 글쓰기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과 창의적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연주전공생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연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대학생 학습자 대상의 글쓰기 프로젝트 학습 방안 연구
- 학습상황에 따른 한국학습자들의 영어공손책략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실태 분석
-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에 기초한 간호대학 신입생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Promoting Familiarity with the Present Perfect through Advice Columns
- 동시를 활용한 프랑스어 쓰기 교육
- 현대 한국어 ‘귀찮다’,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의미 분석
- 예비유아교사 대상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질문중심 수업이 예비영어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 핵심역량개발 사례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고등학생들의 이야기 “대학은 가라면서..”
- 성인용 공격성 기능 척도의 개발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생부 종합전형 인성역량에 대한 인식연구
-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비교연구
- 공립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의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 팀기반학습을 활용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 대학별고사의 과학과 논술 문항 출제 영역 분석
- 미래교육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등교사 양성제도비교
-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 한국어 회화 교육을 위한 프로세스 드라마의 도입과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동료 평가에 나타난 동작 교과교육학지식(PCK)
- 메타포(metaphor)를 활용한 부모의 놀이신념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 연구
- 사회정의교육의 개념과 방향
- 교육과정연구에서의 해체적 방법론의 적용과 그 가능성의 탐색
- 완벽주의 군집에 따른 능동적 학업 지연 및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 학습자중심교육의 실천을 위한 반성적 고찰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