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규모 상업시설 MD구성의 중요도 분석

이용수  178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Industry
발행기관
한국부동산학회
저자명
오윤석(Oh Youn Suk) 김승희(Kim Seong Hee)
간행물 정보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79輯, 163~17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0년대 초 유통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상업용 부동산에서 대형브랜드 소매업체가 도입되었다. 대규모 상업시설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자가 소유 및 자가 운영하는 방법으로 시작되었다. 입점관련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소유가 아닌 대형 상업시설의 전체 또는 일부를 분양하여 임차하거나 전대하는 등의 방법으로 활성화 되었다. 상업용 부동산에서의 업종구성은 초기 분양, 공급되는 시점에서 결정되며 이때 결정된 업종구성은 고객의 수요 변동에 따라 쉽게 바꿀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규모 상업시설업종구성의 요소를 확인하고 부분별 업종구성 요소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규모 상업시설 공급자의 업종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며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Since mall merchandising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initial distribution or supply, it cannot be easily changed by a new customer s nee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ll merchandising of the main elements an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by category. Through this, the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utilization value of the mall merchandising. (2) RESEARCH METHOD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mall merchandising of the main elements by dividing them into components by external impact and structural and internal compartmentalization. (3) RESEARCH FINDINGS So far, we have been able to identify problems such as disagreement of mall merchandising and lo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practical difficulties in finding experienced design participants in malls. 2. RESULTS Design us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should be secured by accurately diagnosing the conditions at the site and then by assuring the efficiency of the design of the business sector and classifying it by type. In particular, since the floating population factor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sales of the store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should be well analyzed and the trends should be closely predicted. In addition, facility factor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onsumer sentiment and purchasing behavior, so sufficient research and review should be presupposed before desig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Ⅲ.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윤석(Oh Youn Suk),김승희(Kim Seong Hee). (2019).대규모 상업시설 MD구성의 중요도 분석. 부동산학보, 79 , 163-174

MLA

오윤석(Oh Youn Suk),김승희(Kim Seong Hee). "대규모 상업시설 MD구성의 중요도 분석." 부동산학보, 79.(2019): 163-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