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원시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0

영문명
A Study on Determinants of Unsold Apartment After Completion in Changwon City - Focused on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2016
발행기관
한국부동산학회
저자명
정진욱(Jeong Jin-uk) 정상철(Jeong, Sang Cheol) 성주한(Sung, Joo Han)
간행물 정보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79輯, 135~15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시를 중심으로 2016년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준공 후 미분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고, 그 요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창원시의 준공 후 미분양과 관련하여 2016년 이전에는 창원시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2016년 이후에는 창원시 아파트거래량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2016년 이전은 아파트 매매가격이 오르면 분양가의 기준이 되어 건설을 추진하여 주택건설인허가가 증가하는데, 경기가 좋을 때는 수요로 모두 충족하여 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하지 않았으나, 경기가 좋지않을 경우 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하였다. 반면, 2016년 이후 창원시 주택가격 상승 등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소비자의 주택 수요가 증가하여 주택거래가 증가하였음에 불구하고 오히려 준공 후 미분양이 증가한다는 것은 창원시 시민들의 주택에 대한 유효수요를 훨씬 초과하는 창원시의 주택 과잉공급이 존재한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affect the unsold apartment after completion and how the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employed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to achieve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3) RESEARCH FINDINGS It is very interesting to select Changwon City,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unsold units, as its research area. In this study, the economic situation such as Unsold Apartment After Completion, supply situation, demand situation, and price aspect was studied separately before 2016 and after 2016. This study can gras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2.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nsold after completion in Changwon was most affected by the change in apartment sale price before 2016 and the biggest change in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after 2016. In other words, before 2016, when the sale price of apartments rises, the performance of housing construction permits increases as the standard of pre-sale price increases. When the economy is good, the demand for housing construction increases. Post-mortem sal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housing prices since 2016, the increase in unsold housing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despite the increase in housing transactions due to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housing by the consumer, is more than the effective demand for the housing of citizens in Changw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oversupply of housing.

목차

Ⅰ. 서 론
Ⅱ.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
Ⅲ. 자료 및 기초통계분석
Ⅳ. 실증연구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욱(Jeong Jin-uk),정상철(Jeong, Sang Cheol),성주한(Sung, Joo Han). (2019).창원시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79 , 135-150

MLA

정진욱(Jeong Jin-uk),정상철(Jeong, Sang Cheol),성주한(Sung, Joo Han). "창원시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79.(2019): 135-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