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AR에 의한 임대료 및 공실률과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연구
이용수 116
- 영문명
- A Dynamic Study between Rent, Vacancy Rate and Macroeconomic Variables by VAR - Focusing on the Region of Office Bulding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조한국(Cho Han-Kook) 서충원(Suh Chung Wo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79輯, 35~4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오피스빌딩의 시장은 1998년 IMF사태 이후 외국의 금융기법을 활용하여 미래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추정하는 DCF법의 도입으로 자본차익의 오피스시장에서 NOI의 극대화을 이루는 수익성 중심의 시장과 자본시장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법도 역시 임대료가 근간을 이루는 방법이다. 거시경제 환경속에서 임대료와 공실률과 함께 유효총소득에 관한 현금흐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오피스빌딩 시장의 투자자 등 시장참여자들이 투자의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paper examines the cash flows by examining the dynamic correlation of rents and vacancy rates among the three major office buildings in Seoul and the macroeconomic variables of each region. As a result, market participants such as investors in the office building market To help make decisions
(2)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we use VAR, which is composed of macroeconomic variables affecting rent, vacancy rate and vacancy rate of each office area in Seoul.
(3) RESEARCH FINDING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xogenous variables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affecting each region by performing the Grandeur causality test. The CICR has the influence in the order of YBDR, YBDP, CBDP, CBDR, KBDP, KBDR and CPI is the most influential in KBDR, followed by CPI in KBDR.
2. RESULTS
In this paper, we performed a grandiose causality test of the exogenous variables and the affected endogenous variables in each region, and found that the CPI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KBDR, followed by the CPI on the order of KBDR and OtherR It can be seen that it is bi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선행연구 및 차별성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택시장 및 도시 특성을 이용한 공시가격 결정 개선방안 연구
- 대규모 상업시설 MD구성의 중요도 분석
- AHP분석을 통한 재개발·재건축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 REITs 주가지수의 비대칭적 변동성에 관한 연구
- 오피스텔의 주거만족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자가거주 여부가 행복감 및 미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VAR에 의한 임대료 및 공실률과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연구
- 도시재생뉴딜사업 일반근린형의 성과지표 중요도에 관한 실증 연구
-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와 주거자부심 및 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 주택 투자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에 대한 연구
- 창원시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평가체계에서 사업목표와 성과평가체계 연구
- 아파트 매매가 동조화 현상과 향후 전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