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와 주거자부심 및 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4

영문명
A Study on the Residential Value, Pride and Residenc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발행기관
한국부동산학회
저자명
손영채(Son, Yong Chae) 이명훈(Lee, Myeong Hun)
간행물 정보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79輯, 151~16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친환경의 개념이 건축물에도 적용되어 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자연친화적으로 계획, 설계되어 주거생활과 환경의 질을 동시에 고려한 친환경 아파트의 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와 주거자부심 및 거주의향을 중심으로 이들 변수 간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공동주택의 계획과 설계에 있어 가치 제안을 통한 주거환경 조성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자기기입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서울 지역의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는 주거품질, 접근성, 주거비용 및 주거이미지의 개념으로 유형화되었고, 이중 주거품질과 접근성, 주거이미지가 주거자부심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자부심은 거주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를 구성하는 모든 요인이 거주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친환경 아파트의 기능적 측면만이 아니라 주변 환경, 접근성 및 주거이미지를 고려한 친환경 아파트의 개발은 자부심과 거주의향을 높일 수 있는 주거단지를 조성할 것이며, 친환경 아파트 전문 브랜드를 육성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residential value on the residence residential pride and residenc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value proposition in the planning and desig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 the residents living in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in Seoul. The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research using self-written questionnaire, and data was analyzed by factor,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3)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dential quality, accessibility, and residential image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the pride of the resident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Second, the residential pride positively affected the residenc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Third, all the factors of residential value positively affected the residenc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2. RESULTS In this study, residential value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were classified into residential quality, accessibility, cost and image.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considering the value of residents as well as the functional aspects should create a residential area that can raise pride and residence int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Ⅲ. 연구가설과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영채(Son, Yong Chae),이명훈(Lee, Myeong Hun). (2019).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와 주거자부심 및 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79 , 151-162

MLA

손영채(Son, Yong Chae),이명훈(Lee, Myeong Hun).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와 주거자부심 및 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79.(2019): 151-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