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교 교사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
이용수 186
- 영문명
- How D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nrolled at Special Schools Spend a Day? : The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of Major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연(Kim Jeong Youn) 허유성(Heo Yu S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47~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현직 특수교사들이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는 남자 교사 6명(33.3%)과 여자 교사 12명(66.7%), 총 특수교사 18명이 참여하였다. 특수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주 2회, 10분 간격의 시간 기록 방법으로 총 12주 동안 학교 및 학교 밖에서의 주요 교직 활동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특수교사의 일상 활동은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개인 주도 활동(수업, 수업준비, IEP·평가, 생활지도, 연수 등)으로 보내는 시간이 61.5%로 가장 높았다. 수업준비 시간은 6.1%를 차지하였다. 협력적 활동(교직원 회의, 동료 협의회, 부모 상담)의 비율이 4.7%, 행정업무 및 공무 출장이 15.9%로 비교적 높았다. 개인 업무 및 휴식 21.1%, 기타가 8.6%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주요 변인에 따라 일부 활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업무는 10년 이상, 비담임, 부장, 중등 교사에서 비율이 높았다. 셋째, 행정업무량이 주요 교직 활동, 특히 수업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수업과 생활지도에 보내는 시간의 과다한 비율이 미치는 영향, 수업준비 및 IEP·평가에 보내는 시간 부족 문제, 교사 간 협업 및 공동체 활동을 늘릴 필요성, 짧은 휴식시간이 갖는 부정적 영향과 대책, 주요 교직 활동과 행정업무 간의 ‘상충관계’에 대한 논의, 그리고 교사 변인 간 차이점이 주는 교육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nalysis of how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spend their daily routines. A total of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six male teachers (33.3%), 12 female teachers (66.7%)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 teaching activities in school and out of school for 12 weeks by total record method of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twice a week and every 10 minutes. The daily activ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vided into five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61.5% of the time spent on personal initiative activities (class, preparation of class, IEP/evaluation, life guidance, in-service program, etc.) was the highest. Class preparation time was 6.1%. The ratio of collaborative activities (faculty meetings, peer councils, and parent consultations) was 4.7%, and administrative and public service was relatively high at 15.9%. Personal work and rest were 21.1%, and others 8.6%.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ministrative tasks have been high for more than 10 year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non-teachers, general managers, and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administrative workload negatively affects fundamental teaching activities, especially class preparation. In the discussion, the impacts of excessive time spent on class and life guidance, the problems of lack of time spent on class preparation and IEP/assessment, need to increase teacher-to-teacher collabor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he negative impacts of short breaks, the relationship in time between fundament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task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eacher related variables were include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 특수학교 교사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
- 글로벌 코리아 외국인 장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수포자의 수학 학습 포기 경험에 대한 교육과정 사회학적 해석
- 학습자의 학습개념, 학습접근과 학업성취의 관계
-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이 연구
- Elastic Net을 통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수 탐색
-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협력학습에서 교수자 피드백과 지각된 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집단지성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