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로벌 코리아 외국인 장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사례 연구
이용수 272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Cultural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under Global Korea Scholarship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부남(Park Pu Nahm) 백송종(Baek Song Jong) 정현아(Jung Hyun A)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2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외 거주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육부가 지원해 오고 있는 글로벌 코리아 장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국제적으로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육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전략적 주요 국가를 선정하고 그 나라의 대학생을 초청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의 위탁을 받은 서울의 한 대학에서 30명의 글로벌 코리아 외국인 장학생들에게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내용과 참여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면담을 시행해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력자로 참석한 7명의 한국인 대학생 포커스 그룹인 서포터들에게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높았고 특히 팀별로 준비한 문화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의 상호문화에 관한 관심과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간의 외국인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시행할 경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 동기를 높이면서 실질적인 한국어 학습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앞으로 외국인을 위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한국어 언어 사용의 활용도가 높은 문화 활동 프로젝트와 교육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scribes the general contour of the cultural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who were selected for the Global Korean Scholarship (GKS) in Korea. 30 GKS participants from 26 different countri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Korean cultural program for 11 days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groups. They were assigned a cultural project and given a Korean supporter’ assistance. The seven Korean supporters in each group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acilitating the foreign students’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evaluate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sponses towards the program in general and the cultural project in particular. For further research,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and the Korean supporters about the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positive responses to the cultural program and the team project. The participants developed some degree of inter-cultural awareness, introducing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and respecting each country’s culture during the team projects. This study implies that a cultural program for invited foreign students should include the active use of the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화 체험 프로그램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 특수학교 교사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
- 글로벌 코리아 외국인 장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수포자의 수학 학습 포기 경험에 대한 교육과정 사회학적 해석
- 학습자의 학습개념, 학습접근과 학업성취의 관계
-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이 연구
- Elastic Net을 통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수 탐색
-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협력학습에서 교수자 피드백과 지각된 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집단지성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