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lastic Net을 통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수 탐색
이용수 298
- 영문명
- Exploring Variables Relating to Teacher Job Satisfaction via Elastic Net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순보(Kwon Soon Bo) 유진은(Yoo Jin E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만족도와 관련 있는 교사 변수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5차년도 자료의 중학교 교사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에 투입된 교사 관련 변수는 총 223개로, 수백 개의 변수를 한 모형에서 분석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법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인 elastic net은 변수 선택뿐만 아니라 자료의 다중공선성까지 고려하는 기법이다. 특히 본 연구는 ‘relevance count’를 활용하여 100번의 elastic net 중 33번 이상 뽑히는 변수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총 29개 변수가 교사 직무만족도와 관련 있는 변수로 선택되었으며, GEPS의 기준에 따라 크게 ‘교사 사기(열의) 및 효능감’, ‘현 학교 만족도’, ‘학교 풍토 및 조직 문화’, ‘공개수업에 대한 인식’, ‘개인적 특성’, ‘교육 정책에 대한 기대’의 6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교사 사기(열의) 및 효능감’, ‘현 학교 만족도’, ‘학교 풍토 및 조직 문화’, ‘개인적 특성’은 선행 연구에서 다뤄졌던 변수들이고, ‘공개수업에 대한 인식’, ‘교육 정책에 대한 기대’는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변수들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mportant variables to teacher job satisfaction. Elastic net,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analyze the 5th wave GEPS data. Particularly, relevance count was obtained after 100 iterations, and variables selected 1 out of 3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 total of 29 variables were such important variables, selected among 223 teacher variables. The selected variables were grouped into six categories according to the variable classification of GEPS: ‘Teacher morale (enthusiasm) and Efficacy’, ‘Current School Satisfaction’, ‘Schoo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ulture’, ‘personal characteristic’, ‘Recognition of open class’, and finally ‘Expectation of educational policy’. Variables pertaining to ‘Teacher morale (enthusiasm) and Efficacy’, ‘Current School Satisfaction’, ‘Schoo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ulture’, ‘personal characteristic’ and ‘Recognition of open clas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Some variables in the ‘Recognition of open class’ and ‘Expectation of educational policy’ categories were newly found variables important to teacher job satisfaction.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particularly on education policy relating to teacher job satisfac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 특수학교 교사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
- 글로벌 코리아 외국인 장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수포자의 수학 학습 포기 경험에 대한 교육과정 사회학적 해석
- 학습자의 학습개념, 학습접근과 학업성취의 관계
-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이 연구
- Elastic Net을 통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수 탐색
-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협력학습에서 교수자 피드백과 지각된 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집단지성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Plant Transpiration Using Pages for High School Students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Scientific Models from a Resource Perspective: Analyzing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ERM and PR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 Generative AI for ‘Exploration and Design of Career and Job’ Less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