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이용수  366

영문명
An Analysis of General Guidelines in the 4th to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Learners Diversity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유하라(Ryu Ha Ra) 이효정(Lee Hyo Ju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171~19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에 반영된 통합 혹은 포용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포용은 국내외적으로 강조되는 중요한 교육적 가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지원이 통합교육의 확대와 함께 양적·질적으로 성장해왔지만,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과정 수정 등과 같은 교육과정적 통합은 여전히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학습자의 다양성을 지원하는 서술 내용의 변천을 분석하고자 학습자의 다양성, 교수·학습의 다양성, 평가의 다양성 차원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학습자의 다양성과 관련된 진술이 최초 등장한 제4차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총론의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여러 번의 개정을 거치며 지원 범위의 확대, 용어 정비, 수준별 수업의 도입 등을 통해 학습자의 다양성을 지원하려는 노력이 부분적으로 확대되어왔다. 그러나 학생의 요구보다 기능주의에 입각한 지원, 수준별 수업의 변질, 평가의 다양한 층위에 대한 논의 부족 등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학습자를 포함하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mbedded value of inclusion by analyzing the general guidelin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Currently, inclusion and equity in education for diverse learners have become important values in education internationally. Although support for learners’ diversity has been improved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a lack of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ill remains in terms of instructional inclusion. In this study,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have been analyzed focusing on descriptive changes in order to support and include all students based on their diversity. The dimensions of the national review framework for reviewing national policies by UNESCO (2016) were applied for the study to examine the domains of national curriculums including learners’ diversity, instructional flexibility, and assessment system for all learners. As a result, the included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of the study showed some efforts for supporting learners’ diversity such as expansion of supporting population, reconsideration of terminology, and differentiated classes. Nevertheless, findings showed a lack of flexibility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for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ing diverse learners across all three dimensions for inclusion and equity in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하라(Ryu Ha Ra),이효정(Lee Hyo Jung). (2019).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열린교육연구, 27 (3), 171-197

MLA

유하라(Ryu Ha Ra),이효정(Lee Hyo Jung).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열린교육연구, 27.3(2019): 171-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