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이용수 1,644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s non-curricula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based on an educational community using e-learning -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경민(Choi, Kyeong-Min) 김민지(Kim, Min-J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1283~13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러닝 기반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여 자기주도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가 자기주도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북에 소재한 A대학 재학생 중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51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미 참여 학생 44명을 통제집단 으로 선정하였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2017년 9월 4일부터 10월 27일까지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인구 변인과 주요 연구 변인들에 대해서는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의 내적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는 이석재 등(2003)이 개발한 자기주도 학습 척도의 설문 문항을 이경희(2012)가 수정 보완한 것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인 A대학교 학생 51명을 무선 배정한 뒤 총 8회기에 걸쳐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실시 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평균이 실험 전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를 강화시켜 자기주도 학습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상승효과를 위해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 community activities based on e-learning environm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ty programs that are used in university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elearning environment on self-directe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5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among the A college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44 students who were not participating were set as the control group to perform the pre - and post - tes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covariance analysis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mplementation. As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asure, the questionnaire items of self-directed learning scal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Seok-Jae Lee (2003) and supplemental revised
by Kyung-Hee Lee (2012)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51 students from A university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study group. In this study, we can deduce that learning community program can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strengthening learning plan, learning execution, and learning evalu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e-learning environment-based learning community can help to enha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밖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불안의 관계: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 효과
- 유전 개념의 통합적 이해 향상을 위한 고등학생 대상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등 기술 교사 임용시험의 제조기술 관련 문항 분석
-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행복의 구조적 관계: 상황에 대한 비용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 S대학교 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교수학습지원센터 동아리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 개인 성격유형이 팀 기반 학습 중 학생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양적·질적 연구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 분석
- 문화예술 분야의 방향성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나의 <육아일기>에 나타난 아버지 체험: 현상학적 심리학의 접근
- 대학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 놀이치료자의 현황, 훈련과정과 놀이치료 현장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견해 연구
-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자아효능감 건강증진행위및 주관적안녕감과의 관계
-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쓰기 성취도 평가 문항및 범주에 관한 연구
- 중도탈락 위기 학생선수 학부모들의 일상 경험 탐색: 고등학교 레슬링부에 관한 사례연구
- 예비 미술교사 교육실습에 관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참여관찰 연구: 미국 애리조나 대학과 국내 교육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 Blasi 도덕적 자아 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노출시간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행복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비교연구
-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및 유형 분석
- 민속놀이를 활용한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과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대한 종단적 비교 분석: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습자와 학습 환경의 상호작용에 기반 한 MUSIC 동기모형 연구
- 학습포트폴리오가 대학생의 그릿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은희(가천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적용한 공개교육자료(Open Educational Resources) 사례 분석 및 학습자 인식 탐색
-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파닉스 교수의 효과: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배구 패스 영상분석 수행과제 수업적용을 통한 운동학적 분석
- 시지푸스의 과학하기: 영구기관 발명가 3인이 보여주는 심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 비 선수 출신 배드민턴 생활체육지도자의 교육역량 탐색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특성이 학업능력과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쓰기 과정’ 지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애착이야기 그림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 부모대상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연구
- 델파이 조사를 통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교육에서의 교사 역량
-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학습자 주도 수업에 의한 배움의 재구성: 거꾸로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일·가정 양립’ 단원 내용 분석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 교실정의 유형과 공정성 조건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분석
- 군 전역 복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 대학 신입생의 부모관련변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아버지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버지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유아교사의 감정반응과 대처반응 분석
- Explicit Instruction with Student-centered Contextualized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Implicit Knowledge
-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조직문화가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인성이 교육관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진학이 학부모 학교참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를 중심으로
- 교차하는 두 정사각형의 상황에 대한 예비중등수학교사의 문제제기 활동 분석
-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 한⋅미 학교 성교육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 ICT 수업매체 역량 포함 유치원 교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지역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 영어 읽기 세부 능력및 영어 교육 실태 조사: 대도시와 중소도시 및 읍면산간 지역 비교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