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이용수 308
- 영문명
- Medical students’ metaphorical representations of life and deat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효현(Yoo, Hyo Hyun) 신세인(Shin, Sein) 이준기(Lee, Jun-K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175~2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의과대학 재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은유적 이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한 의과대학 학생 435명으로부터 생명과 죽음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은유적인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들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되었 으며, 그 결과 생명과 죽음 모두에 대해 ‘생물학․의학 관련 은유’, ‘감정 관련 은유’, ‘사회․문화 관련 은유’, ‘추상적 상징 관련 은유’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해 볼수 있었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생물학․의학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발생과 성장’, ‘항상성’, ‘균형과 질서’, ‘생기와 역동성’이, 죽음의 경우에는 ‘쇠락’, ‘항상성의 붕괴’, ‘소멸과 분해’로 범주화 되었다. ‘감정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감정의 표현’, ‘자연 속에서의 생동감’이, 죽음의 경우는 ‘슬픔’, ‘생각과 감정의 소멸’로 범주화 되었다. ‘사회․문화 관련 은유’ 중 생명의 경우는 ‘더불어 삶, 무리 속의 생명’과 ‘종교적 상징’, ‘생일’이, 죽음의 경우는 ‘관계의 단절’, ‘장례 그리고 사후세계’로 범주화 되었다. 마지막으로 ‘추상적 상징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타오르는 불꽃’, ‘교류와 순환’, ‘주체성, 의지 그리고 가능성’이, 죽음의 경우는 ‘무와 소멸’, ‘완전한 어둠’, ‘끝이 아닌 죽음’, ‘돌이킬 수 없고 불가항력적인 순간’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생명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은유적 이미지는 의학교육과정에서 의과대학생들의 생사관 확립을 위한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etaphorical image forming about the life and death of students of medical school in Korea.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we collected metaphorical images and description about life and death from 435 students of medical schools in southern region.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in an inductive way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students’ metaphoric images fall into four broad categories: biology and medicine, emotion, society and culture, and abstract symbol. More specifically, in the biological and medical metaphors, images of life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eneration and growth , homeostasis , balance and order , vitality and dynamics’, and images of deat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cline’, ‘collapse of homeostasis’, extinction and decomposition . In the case of metaphors related with situation an state, life was represented as expression of emotion and vitality in the nature , and death was represented as sadness and disappearance of emotion . In the case of metaphors related to society and culture, life was represented as living together in community’ and religious symbol’, ‘birthday , and death was represented as disconnection of relationship , funeral and afterlife . Finally, in the abstract symbolic metaphor, life is described as ’flaming fire’, ‘exchange and circulation’, ‘subjecthood, will and possibility’, and death is described as ‘nothing and extinction’, ‘total darkness’, ‘death which is not the end’, ‘irrevocable and irresistible moments’. The various metaphorical images of life and death will be used as basic date in medical education for improving medical students’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밖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불안의 관계: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 효과
- 유전 개념의 통합적 이해 향상을 위한 고등학생 대상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등 기술 교사 임용시험의 제조기술 관련 문항 분석
-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행복의 구조적 관계: 상황에 대한 비용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 S대학교 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교수학습지원센터 동아리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 개인 성격유형이 팀 기반 학습 중 학생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양적·질적 연구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 분석
- 문화예술 분야의 방향성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나의 <육아일기>에 나타난 아버지 체험: 현상학적 심리학의 접근
- 대학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 놀이치료자의 현황, 훈련과정과 놀이치료 현장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견해 연구
-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자아효능감 건강증진행위및 주관적안녕감과의 관계
-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쓰기 성취도 평가 문항및 범주에 관한 연구
- 중도탈락 위기 학생선수 학부모들의 일상 경험 탐색: 고등학교 레슬링부에 관한 사례연구
- 예비 미술교사 교육실습에 관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참여관찰 연구: 미국 애리조나 대학과 국내 교육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 Blasi 도덕적 자아 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노출시간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행복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비교연구
-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및 유형 분석
- 민속놀이를 활용한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과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대한 종단적 비교 분석: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습자와 학습 환경의 상호작용에 기반 한 MUSIC 동기모형 연구
- 학습포트폴리오가 대학생의 그릿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은희(가천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적용한 공개교육자료(Open Educational Resources) 사례 분석 및 학습자 인식 탐색
-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파닉스 교수의 효과: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배구 패스 영상분석 수행과제 수업적용을 통한 운동학적 분석
- 시지푸스의 과학하기: 영구기관 발명가 3인이 보여주는 심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 비 선수 출신 배드민턴 생활체육지도자의 교육역량 탐색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특성이 학업능력과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쓰기 과정’ 지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애착이야기 그림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 부모대상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연구
- 델파이 조사를 통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교육에서의 교사 역량
-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학습자 주도 수업에 의한 배움의 재구성: 거꾸로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일·가정 양립’ 단원 내용 분석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 교실정의 유형과 공정성 조건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분석
- 군 전역 복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 대학 신입생의 부모관련변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아버지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버지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유아교사의 감정반응과 대처반응 분석
- Explicit Instruction with Student-centered Contextualized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Implicit Knowledge
-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조직문화가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인성이 교육관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진학이 학부모 학교참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를 중심으로
- 교차하는 두 정사각형의 상황에 대한 예비중등수학교사의 문제제기 활동 분석
-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 한⋅미 학교 성교육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 ICT 수업매체 역량 포함 유치원 교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지역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 영어 읽기 세부 능력및 영어 교육 실태 조사: 대도시와 중소도시 및 읍면산간 지역 비교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