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40
- 영문명
- Effect of nursing education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knowledge, Self-Leadership, Goal Commit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다인(Lee Da 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281~2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전략으로 문제중심학습 패키지를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로 연구 대상은 C도 소재 일개 전문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 50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에 비해 지식(t=-2.09, p<.05), 셀프 리더십(t=2.08, p<.05), 목표몰입(t=-2.01, p<.05)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문제 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에 비해 문제해결능력은 향상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t=.43, p>.05).
본 연구를 통하여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국내 문제중심학습 연구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교육적 효과변수들을 검증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문제중심학습의 교육기간을 늘려 교육효과를 측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ed to examine that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effects the knowledge, self-leadership, goal commit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A control group pre-posttest qausi-experimental study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100 nursing students 3nd graders. The data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18 in one colleg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x 2 -test by SPSS 22.0. After the course,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d in knowledge(t=-2.09, p<.05), self-leadership(t=2.08, p<.05) and goal commitment(t=-2.01, p<.05). There was improved in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t=.43, p>.05). The finding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can be used for improvements of knowledge, self-leadership, commit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we suggest further research how problem based learning effects clinical training course or integrated nursing practical course managemen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밖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불안의 관계: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 효과
- 유전 개념의 통합적 이해 향상을 위한 고등학생 대상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등 기술 교사 임용시험의 제조기술 관련 문항 분석
-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행복의 구조적 관계: 상황에 대한 비용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 S대학교 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교수학습지원센터 동아리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 개인 성격유형이 팀 기반 학습 중 학생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양적·질적 연구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 분석
- 문화예술 분야의 방향성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나의 <육아일기>에 나타난 아버지 체험: 현상학적 심리학의 접근
- 대학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 놀이치료자의 현황, 훈련과정과 놀이치료 현장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견해 연구
-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자아효능감 건강증진행위및 주관적안녕감과의 관계
-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쓰기 성취도 평가 문항및 범주에 관한 연구
- 중도탈락 위기 학생선수 학부모들의 일상 경험 탐색: 고등학교 레슬링부에 관한 사례연구
- 예비 미술교사 교육실습에 관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참여관찰 연구: 미국 애리조나 대학과 국내 교육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 Blasi 도덕적 자아 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노출시간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행복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비교연구
-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및 유형 분석
- 민속놀이를 활용한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과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대한 종단적 비교 분석: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습자와 학습 환경의 상호작용에 기반 한 MUSIC 동기모형 연구
- 학습포트폴리오가 대학생의 그릿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은희(가천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적용한 공개교육자료(Open Educational Resources) 사례 분석 및 학습자 인식 탐색
-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파닉스 교수의 효과: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배구 패스 영상분석 수행과제 수업적용을 통한 운동학적 분석
- 시지푸스의 과학하기: 영구기관 발명가 3인이 보여주는 심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 비 선수 출신 배드민턴 생활체육지도자의 교육역량 탐색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특성이 학업능력과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쓰기 과정’ 지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애착이야기 그림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 부모대상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연구
- 델파이 조사를 통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교육에서의 교사 역량
-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학습자 주도 수업에 의한 배움의 재구성: 거꾸로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일·가정 양립’ 단원 내용 분석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 교실정의 유형과 공정성 조건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분석
- 군 전역 복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 대학 신입생의 부모관련변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아버지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버지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유아교사의 감정반응과 대처반응 분석
- Explicit Instruction with Student-centered Contextualized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Implicit Knowledge
-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조직문화가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인성이 교육관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진학이 학부모 학교참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를 중심으로
- 교차하는 두 정사각형의 상황에 대한 예비중등수학교사의 문제제기 활동 분석
-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 한⋅미 학교 성교육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 ICT 수업매체 역량 포함 유치원 교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지역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 영어 읽기 세부 능력및 영어 교육 실태 조사: 대도시와 중소도시 및 읍면산간 지역 비교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