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차하는 두 정사각형의 상황에 대한 예비중등수학교사의 문제제기 활동 분석
이용수 144
- 영문명
- Analysis on Problem-Posing Activities of Prospective Secondary Math Teachers in the Situation of Two Intersecting Squar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환(Kim, Jin Hw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355~3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예비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차하는 두 정사각형이 주어진 상황에서 수용하기와 이 상황에 특정한 질문이 결합된 문제에 What-if-not?(WIN) 전략을 적용한 도전하기의 문제제기 활동을 탐구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40명의 예비중등 수학교사들이 참여한 2018년 8월과 9월에 이루어진 설문을 기반으로 하였 다. 수용하기에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참여하여 질문을 생성하였다. 도전하기에는 40 명중 WIN 전략을 포함한 문제제기의 수업을 받은 바 있는 15명의 예비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수용하기에서 질문하기에 앞서 상황을 도형으로 표상번역을 하는가에 따라 질문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수학적 원리의 탐구로 활용 가능한 질문을 포함한 다양한 질문이 생성되었다. 도전하기에서 문제에 명시된 단어들로서 속성목 록을 만들었고 이들의 변형에만 치중하여 문제제기하는 경향을 보이며 문제에 함의된 의미나 대상간의 관계와 관련된 속성을 간과하면서 탐구를 위한 문제제기에 취약 하였다. 풍부한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선 속성목록의 구성에 대한 숙고, 속성변형에 따른 새로운 상황의 설정 및 유연한 질문이 필요하며 문제의 유의미성 분석도 수반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ses the problem-posing activities posed by prospective secondary math teachers through the accepting way and the challenging way using what-if-not?(WIN) strategy in the situation of two intersecting squares with a special question and it focuses on the exploring. Participants were 40 prospective teachers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reate questions in the accepting. 15 prospective teachers who had taken lessons related to problem posing including WIN strategy were participated in the challenging. As results of the study, in the accept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ranslation of representations prior to questioning and these resulted in differences in the questions. The generated questions are diverse and likely to be good sources for exploring mathematical principles. The 15 prospectiv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allenging took an explicit word contained in the problem to make a list of the attributes and ignored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implicit meaning or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This method seems to be effective in solving a given problem, but is vulnerable to problems for mathematical exploring. In order to raise abundant problems for exploring,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attribute list, to set up a new situation according to the attribute transformation, and to have a flexible question an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probl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밖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불안의 관계: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 효과
- 유전 개념의 통합적 이해 향상을 위한 고등학생 대상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등 기술 교사 임용시험의 제조기술 관련 문항 분석
-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행복의 구조적 관계: 상황에 대한 비용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 S대학교 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교수학습지원센터 동아리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 개인 성격유형이 팀 기반 학습 중 학생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양적·질적 연구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 분석
- 문화예술 분야의 방향성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나의 <육아일기>에 나타난 아버지 체험: 현상학적 심리학의 접근
- 대학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 놀이치료자의 현황, 훈련과정과 놀이치료 현장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견해 연구
-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자아효능감 건강증진행위및 주관적안녕감과의 관계
-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쓰기 성취도 평가 문항및 범주에 관한 연구
- 중도탈락 위기 학생선수 학부모들의 일상 경험 탐색: 고등학교 레슬링부에 관한 사례연구
- 예비 미술교사 교육실습에 관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참여관찰 연구: 미국 애리조나 대학과 국내 교육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 Blasi 도덕적 자아 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노출시간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행복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비교연구
-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및 유형 분석
- 민속놀이를 활용한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과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대한 종단적 비교 분석: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습자와 학습 환경의 상호작용에 기반 한 MUSIC 동기모형 연구
- 학습포트폴리오가 대학생의 그릿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은희(가천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적용한 공개교육자료(Open Educational Resources) 사례 분석 및 학습자 인식 탐색
-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파닉스 교수의 효과: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배구 패스 영상분석 수행과제 수업적용을 통한 운동학적 분석
- 시지푸스의 과학하기: 영구기관 발명가 3인이 보여주는 심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 비 선수 출신 배드민턴 생활체육지도자의 교육역량 탐색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특성이 학업능력과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쓰기 과정’ 지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애착이야기 그림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 부모대상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연구
- 델파이 조사를 통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교육에서의 교사 역량
-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학습자 주도 수업에 의한 배움의 재구성: 거꾸로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일·가정 양립’ 단원 내용 분석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 교실정의 유형과 공정성 조건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분석
- 군 전역 복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 대학 신입생의 부모관련변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아버지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버지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유아교사의 감정반응과 대처반응 분석
- Explicit Instruction with Student-centered Contextualized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Implicit Knowledge
-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조직문화가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인성이 교육관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진학이 학부모 학교참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를 중심으로
- 교차하는 두 정사각형의 상황에 대한 예비중등수학교사의 문제제기 활동 분석
-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 한⋅미 학교 성교육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 ICT 수업매체 역량 포함 유치원 교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지역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 영어 읽기 세부 능력및 영어 교육 실태 조사: 대도시와 중소도시 및 읍면산간 지역 비교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Marxism studies Vol.2 No.1 Contents
- 《资本论》中存在开端难题吗?——驳阿瑟的“新辩证法”
- 西方个人本位论及其意识形态变体的分析与反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