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이용수  901

영문명
An Analysis of Geography Achievement Standards of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Revised 2015: Based on Bloom 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재원(Jeon Jae 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1061~108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의 성취기준을 분석해 보았다. 지리 교육 목표 중 하나인 지리적 사고력 함양은 인지과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지리 영역 성취기준의 인지적 차원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 고등학교 지리 교과 성취기준은 지식 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과 ‘메타인지 지식’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절차적 지식’이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지과정 차원 에서는 ‘분석하다’와 ‘이해하다’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적용하다’가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취기준 진술에 있어 지리교과의 특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절차적 지식의 비중을 높일 것과 학습의 ‘전이’를 높일수 있는 인지 과정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향후 교육과정 개발 시, 지리 교과의 특수성과 학습자들의 인지발달을 고려한 인지과정의 위계화가 필요함을 피력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2015 개정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의 심층적인 이해 및 성취기준 개발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개선, 그리고 지리 교육 현장 적용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ography achievement standards of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revised 2015, based on Bloom 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enhancement of geographical thinking, one of the goals of geography education, is close related to the cognitive process. Therefore, Bloom 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the tool that can examine the cognitive aspect of geography achievements. Based on the results gathered from the analysis of geography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knowledge dimension, it has been found that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form a large part and procedural knowledge is low.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e could verify that analyze and understand are mostly used and adapt has the lowest use. Based on these results, in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e could sugges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ocedural knowledge that present the character of geography subject most properly and diversifying cognitive process fostering the transfer of learning. Furthermore, when developing curriculum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firmly expressed the needs of a hierarchy of cognitive process considering the specialty of textbook and learners cognitive development. B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will expect that it can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geography i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revised 2015, curriculum improvemen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mplication to adaption of geography education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재원(Jeon Jae Won). (2019).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 1061-1082

MLA

전재원(Jeon Jae Won).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019): 1061-10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