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과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연구
이용수 58
- 영문명
- The Study of Academic Component Syste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정진(Kang Jung Jin) 정모근(Jeong Mo Geu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4권 제1호, 55~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udy-field and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o establish the system of it as a discipline. For this, I analysed the theoretical system of education, that of the education of subject matter and the study-structure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ncludes background study, contiguous study and education. The basic studie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give us basic experience for both present life and future life. And by the fundamental theory of work-oriented educatio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zed.
2.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s composed of the nuclear element (the objectives of education, content-structure, teaching method, curricular materials, evaluation) and the related element (education, edu-environs, background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ork-oriented education).
By all of them, we set the study-fields like substances, education history, education psychology, education philosophy, objectives of education,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 evaluation, curricular materials, educational environment, comparative education, curriculum, sociology education, educational policy, practice,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3.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coherent and systematical, related to contents, rang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senior high school. It should include the theoretical system adapted to all of the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문제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실과를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의 통합적 접근
- 초등학생 자녀의 직업성격유형과 아버지의 직업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 평가에서의 컴퓨터 활용 가능성
- 초등학교 교원들의 기술적 교양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 학생 주도적인 실과 교수-학습의 효율화를 위한 동기유발에 관한 연구
- 초등 실과의 공업기술영역에서 ICT의 두 가지 접근방법
- 실과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연구
- 초등학교 교육실습의 효율화 방안
- 실과 교수-학습에서의 ICT 활용 방안
- 실과의 「전자 키트 만들기」 단원에 대한 실기수업 운영 실태의 분석
- 도산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실과교육 철학의 탐색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