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실과를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의 통합적 접근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Study of Integrated Approach for Career Guidance in Elementary School Centered on Practical Ar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모근(Jeong Mo Geun) 정재영(Jeong Jae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4권 제1호, 143~1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make career guidance more effective, which is on going process but not successfully, teachers should instruct students with tieing up the units or contents of each subject related to career guidance as the integrated approach. But in the real conditions of our present education, it’s very difficult for teachers to restructure and instruct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urricula of ethics, Korean,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arts and to make an attempt to integrate fields of career guidance centered on practical arts under the construction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ing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goals of the 6th and the 7th curricula in elementary school, the contents and goals related to career guidance are found in practical arts, ethics, Korean and social studies.
2.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goals of the 6th and the 7th curricula in elementary school, the contents related to career guidance are found in context of learning of practical arts, ethics, Korean and social studies. And also particularly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arts are closely related to career guidance.
3. The 6th curriculum suggests the units and fields related to career guidance in social studies and the 7th curriculum suggests those in practical arts. From this fact,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are the foundation and the validity of integrating curriculum for career guidance centered on practical arts.
4. Career guidance should be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desirable to instruct general common contents of each subject by making the integrating curriculum scheme and to instruc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alty of each subject separately. Therefore, in the former case, this study suggest the integrating curriculum scheme by integrating the curricula of ethics, Korean and social studies centered on the unit ‘The world of work and occupation’ of 6th grade in the 7th practical arts curriculu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실과를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의 통합적 접근
- 초등학생 자녀의 직업성격유형과 아버지의 직업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 평가에서의 컴퓨터 활용 가능성
- 초등학교 교원들의 기술적 교양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 학생 주도적인 실과 교수-학습의 효율화를 위한 동기유발에 관한 연구
- 초등 실과의 공업기술영역에서 ICT의 두 가지 접근방법
- 실과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연구
- 초등학교 교육실습의 효율화 방안
- 실과 교수-학습에서의 ICT 활용 방안
- 실과의 「전자 키트 만들기」 단원에 대한 실기수업 운영 실태의 분석
- 도산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실과교육 철학의 탐색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