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urse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for Nursing Mangement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영인(Han, Young 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5호, 301~3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에 CEA(Course embedded assessment)을 적용하기 위한 문헌연구로 시행하였다. 선행연구과 미국대학평가사 무국의 자료를 통해 CEA의 개념, 장․단점, 단계, 적용 시 주의사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에 적합한 CEA모형과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EA 평가체계와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CEA 단계별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구축한다면 일관성 있는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통해 간호관리역량 향상과 지속적인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질적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ossibility of adapt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course outcome in nursing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urse outcome in nursing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 Office of Assessment web site reference review on concept, advantage, disadvantage, process, measure, tool and precaution. This study was confirmed by the Nursing Management subjects the possibility of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in the CEA program evaluation system. In conclusion, if you build a Nursing Management course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consistent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to evaluate for improvement in nursing management cap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와 CEA
Ⅳ.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EA의 적용방안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PA 기준에 근거한 과학교육 실험연구의 분석
- 한국의 설화와 동화에 제시된 아동희생의 양상과 문학교육적 함의
- 자연 친화형 여가 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 교수학습센터(CTL)의 대학강의컨설팅 영역 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
- 체류이민자의 범죄에 대한 문화·환경적 요인 연구
- 자기연구를 통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리더 역할 성찰
- 간호대학생의 음주동기,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책 활용 초등 영어교사 연수 과정 제안
-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유정신모형의 예측력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제시 방식 검토와 스코틀랜드 ‘Curriculum for Excellence’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대인간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신입생의 부모지지, 친구지지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ntion of Accepting Digital Textbooks
- 문학교사의 문학교육관 유형 연구
- 영어 독해 문제 난이도와 학습자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상위인지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 초등 교사 양성 교육을 위한 실과교육학 필수 과목 강의 비교 분석
-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연구 (Lesson Study)의 효과와 운영전략 탐색
- 자기주도적 윤리실천으로서의 대학생 무감독 시험제도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 국어교사의 쓰기 장르 인식에 관한 은유 분석
- 민족 미디어를 통한 사할린 한인의 민족 정체성 구성 경험 탐구
- 교육대학교 체육수업의 교수지도유형과 교과태도와의 관계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생애목표의 매개효과
- 활동중심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흡연지식, 흡연태도, 흡연거절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무용/동작 치료 요소를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활동 수업의 설계 및 적용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과에 관해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이 기대하는 부분과 우려하는 부분에 대한 분석
- 대학 행정직 상급자의 서번트 리더십, 하급자의 팔로워십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부모상담 수행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목「부모상담」수업내용 선정의 기초연구
-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비교
- 고등학생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경험 분석
-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EA의 적용 가능성 고찰
-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음악가의 작품과 삶에 기초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의 학습무동기 극복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교육공동체 인식이 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한 슬기로운 생활 교육내용 변화 분석
- 부모지지 및 부모와의 친밀도가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 초등 교사들의 핵심 역량 모델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