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강삼매경』과 삼계교
이용수 154
- 영문명
- The Vajrasamadhi sutra and The doctrine of Sanjie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 저자명
- 홍재성(Hong Jae sung)
- 간행물 정보
- 『불교문화연구』제9집, 167~20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강삼매경』의 저자를 중국불교의 강한 실천적 의지를 표방한 ‘삼계교’와의 관련성을 주장하는 논고들이 여러 편 있다. 본 논고는 원효와 비슷한 시대에 태어나 중국과 신라의 모든 불교학의 정보를 꿰뚫고 있는 삼계사이면서 여래장사상 내지 지장계경전과의 유통과 관련이 있는 승려를 추정하였다.
먼저 삼계교의 소의경전 중, 신라인들과 특히 관련성 있는 지장계의 경전들 『점찰선악업보경』(『삼국유사』에 상당량 인용됨) 과 『대방광십륜경』, 『대승대집지장십륜경』의 용어를 『금강삼매경』 내지 『금강삼매경론』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용어들의 유통경로를 살펴 신라에 어떤 사상적 영향을 끼치었는가 하는 부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금강삼매경』의 저자를 유식학의 대가이며, 삼계사인 ‘신방’으로 하여금 『금강삼매경』의 저자로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are several studies showing that the author of The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 is related to The doctrine of Sanjie(三階敎) which stands for the strong will to practice in Chinese Buddhism. This study found out that a monk, who was a contemporary with Wonhyo(元曉), had relevance to distribution of Tathāgatagarbha-sutras(如來藏經典) or Kṣitigarbha-sutras(地藏經典). He was a monk of The doctrine of Sanjie who knew well about the Buddhism of Silla and China.
First, among sutras of The doctrine of Sanjie we studied the terms in Senzatsu gzennaku gohokyo(占察善惡業報經) (cited a lot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Daiho ko julingyo(大放廣十輪經), Daijo daishu jizo juringyo(大乘大集地藏十輪經) - The Kṣitigarbha-sutras(地藏經典)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people of Silla - comparing with those in The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 and The treatise of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論). By looking at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terms, we tried to find out what ideological effect they had on Silla. We assumed the monk of The doctrine of Sanjie, Sinbang(神昉) who is a great master of The teaching of Vijñapati-mātratā(唯識學) as the author of The Vajrasamadhi sutra.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