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강경의 핵심논리와 그 해석
이용수 467
- 영문명
- The Mind of Purity and the logic of denial on the Diamond Sutra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 저자명
- 이대성(Lee Dae seong)
- 간행물 정보
- 『불교문화연구』제9집, 205~2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강경을 범어로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라고 표기한다. Vajracchedikā는 ‘무엇이든지 잘라버릴 수 있는 것’의 의미이며, Prajñāpāramitā는 ‘더없이 完全한 智慧’를 뜻한다. 따라서 ‘금강경’은 일체의 상(相, saṃjñā)을 벼락처럼 찰나에 잘라서 제거해 버림으로써 ‘더없이 完全한 智慧’를 증득하게 하는 최고로 고귀한 經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세존의 깨침은 ‘緣起法’을 깨달아 성불하셨다. 연기법은 온갖 욕망과 번뇌를 멸절시킴으로써 더없이 淸淨한 마음의 거울에 비친 온 우주의 實相이다. 金剛經은 이러한 진리를 깨닫는 마음을 ‘淸淨心’이라고 찬양하면서, 육바라밀의 실천을 통하여 집착하지 않는 ‘깨끗한 마음’을 회복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청정심을 회복하기위해서 금강경은 불교의 중요한 문제인 上求菩提와 下化衆生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자세하게 반복해서 설명하고 있다. 불교의 중요한 본질은 깨침과 그 깨침에 입각한 중생구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金剛經의 主題와 ‘卽非의 論理’ 그리고 ‘眞俗二諦’에 관한 철학적인 사상을 살펴본 뒤에 ‘主要經句의 검토와 해석’ 등을 다루었다. 금강경은 언어를 통하여 진리를 설하면서도 그 언어의 한계를 인식하여 또다시 그 언어를 부정해버리는 ‘卽非의 論理’로써 언어를 초월한 깨달음에의 체험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경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금강경의 언어는 禪의 話頭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Diamond Sūtra is transcribed into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Sanskrit. Vajracchedikā stands for eliminating all delusions. Prajñāpāramitā means the Perfection of Wisdom. Consequently, the Diamond Sūtra represents the most noble Sūtra which makes us attain the Perfection of Wisdom by eliminating all delusions such as the four illusions of the ego at that very moment like a stroke of lightning.
By the way, the enlightenment of Sakyamuni seems to be the Dharma of pratitya-samutpada which means interdependent arising. The Dharma of pratitya-samutpada represents the nature of reality as to the universe which reflects on our pure mind attained by removing all delusions. Admiring the mind of purity which makes us enlighten the Dharma, the Diamond Sūtra stresses the need of recovering the pure mind unsupported by practising the six perfections. In order to recover the mind of purity, the Diamond Sūtra demonstrates in details both the way to elevate ourselves by aiming at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and the way to save sentient beings from suffering. In short, the essence of Buddhism is said to teach both the way to attain the enlightenment and the way to save sentient beings.
This paper deals with the topics, the logic of denial, the ultimate aspect of truth and the secular aspect of truth, and the explanation of the main passages on the Diamond Sūtra. Though the Diamond Sūtra explains in details the ultimate aspect of truth by a verbal picture, as it cannot transcend the limit of speech, it cannot but deny the speech through the logic of denial. The logic of denial on the Diamond Sūtra seems to lead us to enlighten the unspeakable aspect of truth.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ogic of denial on the Diamond Sūtra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such as a topic of Se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금강경의 主題
Ⅲ. ‘卽非의 論理’와 眞俗二諦
Ⅳ. 主要經句의 검토와 해석
Ⅴ.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