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홀리스틱 관점에서 팀 수업 중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색
이용수 34
- 영문명
- An Exploration on the Negativ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During Team-Class from the Holistic Standpoint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홍명기(Hong Myung Gi) 조한무(Cho Han Moo)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213~2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생들이 홀리스틱 관점에서 팀 수업 중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준거적 선택법과 초점화된 집단 면담을 통하여 5학년 학생 12명을 선정하여 개인별 심층면담과 비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radley(1979)의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자료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요인에 의한 부정적 정서를 홀리스틱 관점에서의 살펴보면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팀 구성, 수업에 대한 중요성 인식, 학생과의 상호작용 등이 요구된다. 둘째, 학생요인에 의한 부정적 정서를 홀리스틱 관점에서 살펴보면 힐링의 방법인 정서 지능을 높이는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수업 특성에 의한 부정적 정서를 홀리스틱 관점에서 살펴보면 정신성을 반영한 경기 운영으로의 전환과 Hellison(1995)의 책임감 수업모형의 적용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negativ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during team-class from the holistic standpoint. For data collection, criteria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and 12 fif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and were observed by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radley's(1979) block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eachers' roles to resolve negative emotion caused by teacher-factor from the holistic standpoint are team organization considering students' level, recognition of class importance, and interactions with the students, second, holistic standpoint to resolve negative emotion caused by student-factor is an education that increases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s one of the holistic healing methods, and third, holistic standpoints to resolve negative emotion caused by class-factor are to change game management that reflects spirituality and application of Hellison(1995) responsibility class mode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좋은 체육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
-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와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 스포츠활동 참여와 개인의 창의성 및 인성에 관한 연구
- 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 홀리즘에 근거한 STEAM 교육과정 재검토
- 홀리스틱 관점에서 팀 수업 중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색
-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교수효과성 탐색
- 중ㆍ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교사사기, 건강 및 진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연구
- Re-Conceptualizing Action Resear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