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좋은 체육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
이용수 210
- 영문명
- The Differences in Important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Aspect and the Features of 'Good PE Class' between Second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현철(Cho Hyun Choul) 서연희(Seo Yeon Hee)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173~1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좋은 체육수업' 관점과 특성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중요도와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중등학교 체육교사 직무연수에 참석한 선생님들 67명과 사범계열 교생실습을 마친 학생들 61명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좋은 체육수업' 관점의 중요도는 예비교사가 관계-구성-결과-전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직교사는 관계-구성-전달-결과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좋은 체육수업' 특징 중 교육내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의 결과는 '학생의 흥미를 고려한 교육내용'과 '일상생활과 관련 된 실제적인 교육 내용'에서 통계적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방법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의 결과는 '학생이 적극 참여하는 활동 수업', '핵심적인 교육내용을 잘 설명해 주는 수업' 그리고 '학생에게 권한과 책임ㆍ선택권을 주는 수업',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는 방법의 수업', '다양한 특성ㆍ 능력ㆍ스타일을 반영하는 수업', '다양한 교구ㆍ매체를 활용하는 수업',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는 수업', '수업 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수업' 순으로 통계적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교육환경 및 분위기의 중요도 인식 차이는 '균등하고 공평한 기회가 주어지는 수업'에서 통계적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평가의 중요도 인식 차이는 '절대평가ㆍ개인의 발전 평가를 실행하는 수업'과 '지식이해와 기능을 적용하는 수업 평가'에서 통계적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 경력별로 중요도 인식의 순서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항목은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important recognition degree in the aspect and the features of 'Good PE class' between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As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it was appeared that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he importance priority in the aspect of good PE class was the relationship-composition-outcome-delivery in order, but in-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relationship the most importantly and followed the relationshipcomposition- delivery-outcome in order. Second, the result investigating the both groups' differences in important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among the features of good PE class show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the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daily lif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results investigating the both groups' differences about the important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education methods appeared that the 'activity class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was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followed the 'class well explaining the key educational contents', the 'class giving the authority, responsibility and choice opportunity to students', the 'class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and motives' and the 'class reflecting students' various characteristics, abilities and styles', and then the 'class utilizing various learning tools', the 'class utilizing various education methods', and the 'class giving equal, fair opportunities to students' in statistical significance order. Fourth, for the both groups' difference in important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it was appeared that the 'class giving equal, fair opportunities to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for the both groups' difference in important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educational evalua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absolute evaluation-class conducting the evaluation on individual student's development degree' and the 'class evaluation applying the knowledge-understanding and the fun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while the both groups showed some difference in the orde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depen ding on teacher's career period, but they tended to show the same responses in the measuring item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좋은 체육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
-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와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 스포츠활동 참여와 개인의 창의성 및 인성에 관한 연구
- 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 홀리즘에 근거한 STEAM 교육과정 재검토
- 홀리스틱 관점에서 팀 수업 중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색
-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교수효과성 탐색
- 중ㆍ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교사사기, 건강 및 진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연구
- Re-Conceptualizing Action Resear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