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와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이용수 133
- 영문명
- Problems on Evalu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Holistic View as a New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허영주(Hur Young Ju)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193~2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홀리스틱 평가관이 평생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방식임을 논증함으로써 홀리스틱 평가관을 평생교육을 위한 대안적 평가방식으로 도입해야 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평생교육의 성격과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는 상황적 맥락까지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해야 하고 발달적 평가관에 기반을 둔 변용적 평가여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참여시키는 다학문적 접근을 취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현재 평생교육 평가를 주도하고 있는 기존의 접근방식은 성과중심의 양적 평가방식, 그리고 학습자와 전문가의 형식적 참여라는 문제로 인해 평생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평가방식을 취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홀리스틱 평가관은 과정지향 평가, 양적 및 질적 평가 자료를 혼합 활용하는 평가, 환경적 맥락까지 고려한 평가, 전인적이고 영적인 측면까지 포함하는 평가, 발달적 평가관에 기반을 둔 평가, 다원적 상호의존적 평가를 특징으로 함으로써 평생교육 평가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평가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논증을 근거로 평생교육 평가의 대안적 관점으로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에 필요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at holistic perspective can use as new approach in evaluation of lifelong education, as theoretically argue that it's nature match up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in every detail.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I claim that evaluation to answer the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ought to has nature that use variable evaluation's method grasp fully the diverse factor to include context of evaluation, must be transformative evaluation based on developmental view of assessment, needs to tak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s various experts to participate. Second, I prove claim that these doesn't match up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because students satisfaction analysis and expert-oriented evaluation lately proposed as advanced methods as well as traditional approaches as standardized testing and performance monitoring has limitation. Third, I discuss that holistic evaluation do match up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because holistic evaluation has characteristics that process-oriented, mixed u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nsideration until situational context, including whole and spiritual development of human, based on development evaluation, multi-dimensional and interdependent judgment. Consequentially, I propose the necessity for the adoption of holistic evaluation as alternative approach that make up for the weak points and limit of traditional evaluation approach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평생교육의 목적이 요구하는 평가의 방향
Ⅲ. 전통적인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
Ⅳ. 평생교육 평가를 위해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필요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좋은 체육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
-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와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 스포츠활동 참여와 개인의 창의성 및 인성에 관한 연구
- 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 홀리즘에 근거한 STEAM 교육과정 재검토
- 홀리스틱 관점에서 팀 수업 중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색
-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교수효과성 탐색
- 중ㆍ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교사사기, 건강 및 진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연구
- Re-Conceptualizing Action Resear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