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교수효과성 탐색
이용수 53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for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View of Holistic Education: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Chinese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리(Kang 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중등학교의 교수효과성과 과학 교수효과성의 중요 요인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H대학교에서 같은 강좌를 수강중인 한국대학생 80명과 중국 유학생 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심층면담 결과는 근거이론에 의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효과성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한국 대학생은 교수효과성의 중요 요인으로 시험, 과제에 대한 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을 강조한 반면 중국 대학생은 학생의 수업 참여 유도를 강조했다. 둘째, 교수효과성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한국 대학생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수업 참여 유도를 강조한 반면 중국 학생들은 교사와 인격적인 관계를 강조하였다. 셋째, 과학 교수효과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학습 환경면에서 한국 대학생들은 실험도구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강조하였다. 반면 중국 대학생은 흥미유발을 위한 교사의 유머를 강조했다. 학습 평가 면에서 한국대학생은 교사가 평가할 내용을 미리 알려 주는 수업을 효과적인 과학수업으로 강조했다. 반면 중국 대학생은 교사의 평가 후 피드백을 통해 학습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강조했다. 넷째, 과학 교수효과성에 대한 심층 면담 결과, 한국 학생은 매체의 활용을 강조한 반면 중국 학생들은 자연 현상의 탐구를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첫째, 학습자 참여유도와 교사와 학생의 인격적 관계성 측면에서 홀리스틱 관점을 반영한 한국 교육문제 개선 요구, 둘째, 교사의 피드백과 자연탐구 측면에서 홀리스틱 교육을 기반으로 한국 과학 수업 개선의 필요성 제시, 셋째, 다문화 교육차원에서 상호이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cienc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view of holistic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his study compares the perception of the Korea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perception of the chinese students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and the scienc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Also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Quantitative data from survey were analysed using SPSS 18.0 and qualitativ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sed by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analysis, korea students emphasized the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of evaluation while chinese students focused on the class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analysis, chinese students showed there are humanistic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rd, as a result of the scienc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analysis, chinese students emphasized the motivation and feedback of the teachers. fourth,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analysis, chinese students emphasized the exploration of natural phenomena which is related to the basic science education obj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necessary to remodel the merits of the chinese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holistic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한국과 중국의 교육제도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좋은 체육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
-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와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 스포츠활동 참여와 개인의 창의성 및 인성에 관한 연구
- 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 홀리즘에 근거한 STEAM 교육과정 재검토
- 홀리스틱 관점에서 팀 수업 중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색
-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교수효과성 탐색
- 중ㆍ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교사사기, 건강 및 진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연구
- Re-Conceptualizing Action Resear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