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Conceptualizing Action Resear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이용수 3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근호(Lee Keun Ho) 이병천(Lee Byeong Cheon)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123~1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실행연구의 이론과 실천과의 관계에 대한 재개념화를 통하여 홀리스팀 관점에서의 실행연구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자신들의 경험담과 스토리들을 통해서 연구자들은 실행연구의 의미와 근본적인 동인, 실행연구 수행(practice)의 의미에 관하여 자서전적 연구방법(autobiographical research)에 기반을 두어 반성과 성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실행연구는 이론과 실천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 실제에 참여하는 현장 실천가들에 의해 수행되는 연구방법론을 일컫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구자 자신들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실행연구는 비단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을 더 잘 이해하고, 거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스스로의 삶을 더 잘 살고자 하는 그 자체 삶의 실천 방식 중의 하나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실행연구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일종의 연구 기법으로 바라보는 좁은 견지의 해석에서 벗어나 바로 이러한 사실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직시하는 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ction resear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autobiographical research, we tried to reflect on what is action research, what is fundamental momentum of action research, what it means to conduct action research through reflective practices such as self-evaluation, self-recall, self-observation, and self-dialogue with generating insights and drawing theme. Generally speaking, action research has been known as a methodology that came from the interest in narrowing down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owever, action research is not only a method but also a living practice that is itself an effort to live a better life as well as understand one's life better. The possibility of action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lies on how much we acknowledge this solemn fact beyond a narrow interpretation of action research as a research technique, and lies on the researcher's recognition of wholeness of people being involved in the process of action research.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OLOGY
Ⅲ. DISCREPANC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Ⅳ. A PATH TOWARD NARROWING DOWN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Ⅴ. PLUNGING OURSELVES INTO ACTION RESEARCH STREAM
Ⅵ. CONCLUSION: THE END OF PROGRESS AND THE BEGINNING WITH A NEW SENSE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좋은 체육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간 중요도 인식 차이
-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와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 스포츠활동 참여와 개인의 창의성 및 인성에 관한 연구
- 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 홀리즘에 근거한 STEAM 교육과정 재검토
- 홀리스틱 관점에서 팀 수업 중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색
-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교수효과성 탐색
- 중ㆍ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교사사기, 건강 및 진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연구
- Re-Conceptualizing Action Resear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