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이용수  283

영문명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from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Focused on John Miller's Equinox Holistic Alternative School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명지원(Myung Ji Won)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85~10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 한국교육의 이슈인 인성교육을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인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ECD국가들 중 청소년자살률 1위와 학교폭력 등 우리나라 공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현실에서 인성교육을 제도화하는 교육 당국의 인성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21세기를 위한 대안교육으로서 인식되고 있는 홀리스틱 교육은 작금의 인성교육과 관련한 논의에 어떠한 의의를 갖는가. 홀리스틱 교육은 지덕체, 지영체, 지정의 등 인간의 삼원적 존재차원에서 우리나라 교육에서 그동안 소홀히해 온 영성교육, 즉 관계성(connection)을 핵심으로 한 인간내적 그리고 외적 존재의 연계성의 자각과 회복의 교육을 위해 나로부터 우리 이웃, 사회, 국가, 아시아, 지구를 넘어 온 우주를 아우르는 사고를 진작하는 교육을 추구한다. 캐나다 토론토의 Equinox Holistic Alternative School은 관계성을 바탕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지구 그리고 개인의 내면의 자각과 영성을 기르는 교육으로 우리 교육에 귀중한 시사를 한다. 결국 홀리스틱 전인 인성교육은 교사와 학생, 그리고 그를 둘러싼 사회의 홀리스틱한 환경 조성을 통한 학습공동체의 형성을 통하여 이룰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character education that is now a big issue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at is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now. Why has been character education emerged as an issue? What is the background character education has emerged as an issue of education? what is the implication of holistic education for korea education? These questions are key questions of this study, and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are keys to solve our country's educational problems. The request for character education in our country is to, regardless of social background and the political controversy in Korea, be considered as request to the request for the essence of education. EHAS is a typical example of a holistic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the range of the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the like are seeking freedom and equality, and social justice. Character Education is not simply formed by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but by responsibility through holistic thinking and positive action. Discussion of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should be to raise creative abilities and critical thinking, and it will have to be implemented by the learning commun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인성교육진흥법에 나타난 인성교육의 개념 및 목적
Ⅲ. 전인적 인성교육으로서의 홀리스틱 교육
Ⅳ. EHAS의 학교 내외를 아우르는 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구성
Ⅴ. EHAS의 홀리스틱교육 수업의 실제
Ⅵ. 홀리스틱 교육의 우리나라 인성교육에의 함의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명지원(Myung Ji Won). (2015).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9 (4), 85-103

MLA

명지원(Myung Ji Won). "홀리스틱 전인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9.4(2015): 85-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