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knowledge-based partnership and social networking formed among public officials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developing Slow Citie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김성섭 김영미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6권 제3호, 67~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슬로시티를 비롯한 대부분의 생태관광은 관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개발 방향에 대한 목표설정 및 행?재정적 지원은 공무원이 주도하고 있다. 슬로시티의 접근성 향상, 인프라 구축 및 인지도 제고를 위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현 상황을 감안할 때, 슬로시티 개발에 있어 담당 공무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슬로시티 관광개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주요 의사결정자인 담당공무원들의 지식기반 파트너십 구축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앙부처 차원에서 한국관광공사는 슬로시티 관련 광역지자체와 해당 시?군과 거의 모두 직간접적으로 교류하여, 지식창출 및 발굴, 지식공유 및 확산, 지식대응 및 지원에 관여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식대응 및 지원에 있어 광역 수준의 지자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최근에 슬로시티로 인증받은 하동군과 예산군은 네트워크 주변부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내 다른 행위자들과의 교류에 제약을 받고 있었으나, 경남도와 충남도가 다리 역할을 하여 원활한 지식교류를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최초로 4개 지역이 슬로시티 인증을 받은 전남도는 담양군과 신안군이 가장 적극적으로 지식교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전남도 차원에서는 이들 도시가 지역간 네트워크 보다는 지역내 네트워크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역할을 재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Green tourism has become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a rural area. Especial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had great interest in designation of Slow City since four regions in South Jeolla Province had been assigned the first Slow City in the Asia. To pursu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low City in terms of Green Tourism,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how to share or distribute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partnership among public officials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developing Slow City. Taken the consideration in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based partnership at the three difference levels of knowledge factors(i.e.,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responsiveness). In addition, it attempt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ourism infrastructure in each Slow City and better solutions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촌관광 방문동기와 만족도
- 관광목적지 애착도에 관한 연구
- 개별여행객의 문화적동기, 새로움추구, 감각추구가 기간별 목적지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특급호텔 웨딩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 브랜드 개성 지각을 통한 커피전문점의 경쟁구도 및 선호 분석
- IPA를 이용한 전통시장의 관광매력성 분석
- 외식 업태별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관계품질 및 브랜드자산의 인과관계
- 직원관점의 항공사 캐빈 서비스스케이프(Cabin Servicescape) 척도 개발
- 녹색관광 담당공무원간 네트워킹과 지식기반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연구
- 호스피탈리티기업의 사회적자본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Understanding Behavior Intentions of Tourists
- 한ㆍ일 간 카지노 지역주민의 인식과 지지도 비교분석
- 항공브랜드 자산가치 구성척도개발
- 실버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적 특성이 외식업체의 감성적, 기능적, 경제적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 호텔이미지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 특급호텔 종사원의 성격특성이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신기성 욕구가 관광지 선호도, 관광활동,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여행 동호회와 자발적 회원행동
- 자연공원 이용에 대한 수요결정요인 연구
- 리조트 이용객의 개인가치가 리조트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 문화계발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한류 문화콘텐츠와 베트남인의 한국방문에 관한 연구
- 혼인 예식장 선택의 행동의도 구조연구
- ギャンブル産業の認識度分析による觀光市場對応戰略
- 국제회의 온라인서비스의 웹사이트품질이 e-로열티 및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저가항공사의 e-서비스품질이 고객의 만족과 신뢰 및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여행사의 매출수익 인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이 축제매력성과 방문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