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이용수  4,072

영문명
The meanings and methods of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정현선(Jeong Hyeon seon)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8권 제2호, 61~93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문식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대면, 지면, 화면에서 일어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 번째로는 학생들 스스로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보는 성찰을 위해, 문식 활동 일지 작성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지면 공간을 기반으로 한 복합양식 텍스트인 그림책에 대해 행동유도성에 초점을 두어 독자로서 반응하고 감상하는 읽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사진을 찍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학생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표현하고 소통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자신의 문식 활동에 대해 기록하는 일지 작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청소년들의 평균적인 매체 이용 통계 결과와 비교하여 자신의 매체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활동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림책 읽기 활동은 지면 위에 펼쳐진 글과 그림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독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방식을 학생들이 자연스럽고 즐겁게 경험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그림책에 대한 반응과 감상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사의 전략적 질문과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학생들이 쓰기를 위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산하는 활동은 쓰기의 내용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자신이 생성한 내용과 표현인 사진이나 그림을 글에 포함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학생의 쓰기 표현의 향상은 시각화 전략과 더불어, 학생의 글에 대한 교사의 구두 반응이 더해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meanings and methods of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occurring face-to-face, on the page, and on the screen are discussed, as the spaces where literacy activities take place. First,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the suggestion of writing literacy activity journals to provide introspection enabling them to look back on their own literacy activities. Second, focusing on affordances, kinds of read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interact through reaction and appreciation processes were presented, with implementation of picture books containing multimodal text based on the page space. Finally,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reate visual images on their own via taking pictures or drawing objects and expressing multimodal text with them were presented. Writing activity journals, wherein children and teenagers make a record about their literacy activities, can be an important activity in that it would provide basic data enabling th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media literacy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statistics on the average use of the media. In additio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y enable students to enjoy experiencing the way the text and pictures stretched across the papers creat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induce the reader's behavior. These activities need to b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strategic questions and activities to derive reactions about and appreciation of the picture books from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wherein the students produce visual images for their writing on their own can promote the creation of content for the associated writing, and would be helpful in the students' transporting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o better express multimodal texts by way of including pictures and drawing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they created by themselves, inside of their writing.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mprovement in students' writing ability can only be achieved with the teacher's oral response on top of the visualization strategy.

목차

요약
1. 서론
2. 문식 활동의 공간으로서 매체와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3.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목표에 따른 세 가지 활동 방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선(Jeong Hyeon seon). (2014).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우리말교육현장연구, 8 (2), 61-93

MLA

정현선(Jeong Hyeon seon).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우리말교육현장연구, 8.2(2014): 6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