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해의 명료화를 위한 질문 연구

이용수  801

영문명
A Study on a question for good understanding of a text -Centered a question for clarifying a ground of answer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정은아(Chung Eun a)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8권 제2호, 193~216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응답의 근거를 명료화하는 질문을 통해 글에 대한 깊고 명료한 이해를 돕는 데 있다. 수업 활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질문은, 수업의 성공적 달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교수 기술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도 고무적인 방법이다. 그런데 글의 이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텍스트에 근거하되, 설사 그것이 독자의 배경지식을 엮어 추론된 것이라 하더라도 그 배경지식 또한 텍스트에 의거하여 마땅한 것을 끌어오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질문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텍스트 내의 근거를 가지고 정확히 형성해 낸 것인지를 확인 하는 질문에 대한 관심은 소홀했으며, 많은 학생들은 글 읽는 데 있어서 부정확한 태도를 지니고 있다 하겠다. 따라서 본고는, 「기억 속의 들꽃」(윤흥길)을 사례로 들어 일반적으로 교과서에서 묻고 있는 질문을 정리하고, 그것들을 질문과 답의 관계에 따라 '텍스트 명시적 질문', '텍스트 암시적 질문', '선행지식 암시적 질문'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유형별로 지니는 질문의 특성 차이를 염두에 두고, 응답의 근거를 명료화하는 질문의 과정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그것을 통해 학습자는 답의 근거를 명료화하고 결과적으로 글을 깊이 있게 의미 구성하는 읽기 능력을 내면화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s aim is good understanding of a text by questions for clarifying a ground of answer. A question is very important activity in class and good at developing reading ability of students. So, we arrange general questions about 'the wild flower in my memory(by Yoon Heung-gil)' in class, and assort them by classification of question(textually explicit, textually implicit, "scriptally" implicit). And each type of question is adopted to questions for clarifying a ground of answer. Questions help not only clarify a ground of answer but also understand a text deeply.

목차

요약
1. 서론
2. 질문의 적용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아(Chung Eun a). (2014).이해의 명료화를 위한 질문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8 (2), 193-216

MLA

정은아(Chung Eun a). "이해의 명료화를 위한 질문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8.2(2014): 193-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