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 만들기

이용수  100

영문명
A Study on Proper Word(Tobagimal) Teaching and Learning App Development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이창수(Lee Chang soo) 문병무(Mun Byoung mu)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8권 제2호, 217~242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1-2학년군 문법 영역 성취기준 가운데 토박이말 관련 성취기준의 성취를 돕는 데 있다. 토박이말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토박이말 교수ㆍ학습 자료현황을 살펴본 결과 시사점을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을 개발의 바탕으로 삼았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살핀 결과 토박이말을 지도할 수 있는 시간과 양이 턱없이 모자라서 국어 교과 외 시간을 활용할 필요성과 놀이 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박이말 교수ㆍ학습 자료가 PC용 홈페이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현재 강조되고 있는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활용하기에 불편하여 스마트폰에서 활용 가능한 앱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클립스(Eclipse)를 활용하여 자바언어로 안드로이드용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앱은 크게 다양한 토박이말 자료를 보고 익힐 수 있는 텍스트와 동영상, 그림 자료와 놀이 자료로 나눌 수 있다. 에스엔에스(SNS)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토박이말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놀이를 하면서 토박이말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배달말누리 누리집'과 이어져 확장성이 높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올리고 순위 겨루기(랭킹 시스템 도입)으로 흥미와 관심을 갖고 토박이말을 배우고 익힐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이 앱은 단순한 자료실이 아니라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토박이말 클라우드로 가는 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앱이 또 다른 더 나은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자극제 또는 본보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proper words and expressions. This is an effort to help first and second grade learners attain the necessary level of achievement in Korean grammar, according to the school curricula revised in 2009. The development of this application for effective learning of the proper word is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existing materials and systems of teaching and learning native words and expressions, including related school curricula and textbooks. Research of the existing curricula and textbooks revealed a grave lack of learning hours and, hence, in the quantity learned, a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xtend learning hours outside the regular Korean language classes and develop new, play-based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Considering the recent and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nd the in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PC-based programs, the research also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e research result led to the development of an android application using the Java-based Eclipse development platform. The application consists of texts, videos, pictures, and games designed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materials for education on native Korean words and expressions. It encourages learners to use SNS to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on the native Korean language with others and practice expressions through games. The app is expandable and designed to work with the Baedalmalnuri website, allowing easy access to new and updated materials and a ranking system, which is designed to make learning fun. In addition, it can guide users to the proper word "cloud", where they can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other users to improve their learning skills. The developers of this mobile application expect it to set the standard for mobile education software in this field and inspire others who are developing advanced learning applications for the proper word.

목차

요약
1. 들머리
2.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을 만드는 배경
3.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 만들기의 실제
4.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수(Lee Chang soo),문병무(Mun Byoung mu). (2014).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 만들기. 우리말교육현장연구, 8 (2), 217-242

MLA

이창수(Lee Chang soo),문병무(Mun Byoung mu). "토박이말 교수ㆍ학습용 앱 만들기." 우리말교육현장연구, 8.2(2014): 217-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