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이용수 6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iculum Legislation for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창언(Park Chang 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229~247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교육부 령으로 제시하는 개정 법률 안이 제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하위 입법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법제화를 위한 논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교육과정의 관계에 대해 논의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제출된 개정 법안의 제안 이유와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법제화 방안 탐색을 하였다. 논의 결과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반영 방안은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과 국가 교육과정을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은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과 같이 직접적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사항을 교육하여야 할 부분에 해당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법령 체제를 정비하여야 하는 외형적인 측면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와 내용 및 방법의 내용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가 교육과정 부분에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총론은 교과에 해당되는 사항을 일괄적으로 제시하거나 각론의 지침에 해당되는 내용이 제시되므로, 구체적인 사항보다는 지침의 역할을 하는 사항 위주로 제시하였다. 각론은 해당 교과별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교과별 성취기준의 반영 정도를 달리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현재의 교과별 반영 비중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반영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눈데 시사를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ed legislation for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in curriculum fiel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nd curriculum, and then examines the grounds for offer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proposed amendment in the「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he regulations an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methods reflected through regulations are time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on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 time of education is properly set at four hours each year. The contents of education include the understanding, case study, and coping method of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eaching methods are lecture method instruction, field study, and role play etc. The plan to apply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proposes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 matter curriculum. The general guideline prescribes the guidance related to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he subject matters curriculum reflects achievement standards by each subjec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교육과정
Ⅲ.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근거 법안 내용
Ⅳ.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 멘토링 참여 대학생 멘토의 열린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동ㆍ서독의 정치 이념 변화에 따른 체육교육 정책 변화 양상 탐색
-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 한국 초ㆍ중등 교육의 책무성 연구 동향 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ㆍ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
- 반복측정 자료를 다루는 교육 연구 실태 분석
- 실행연구를 통한 진로저널 프로그램의 효과
- 수도권 S대 학생들의 교수ㆍ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 분석에 기초한 교수ㆍ학습지원방안 고찰
- 초등교사 수업의 획일화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교육 실습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 성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Critical Review of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 Confirmation Bias in the Age of AI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Moral Metacognition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