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771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순남(Lee Soon nam) 함경애(Ham Kyong a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23~39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일반계와 전문계 남ㆍ여 고등학교 학생 413명 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부모 공감,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부모공감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공감 중, 부공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부모공감 중, 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measuring parents' empathy,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were completed by 413 students who were given to female and male students in both a general and a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The process of the data was estimated by SPSS 18.0. To verify the effects,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empathy and self-este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 father's and a mother's empathy,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esteem.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was completely by mediated by self-esteem. The limitations and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 멘토링 참여 대학생 멘토의 열린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동ㆍ서독의 정치 이념 변화에 따른 체육교육 정책 변화 양상 탐색
-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 한국 초ㆍ중등 교육의 책무성 연구 동향 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ㆍ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
- 반복측정 자료를 다루는 교육 연구 실태 분석
- 실행연구를 통한 진로저널 프로그램의 효과
- 수도권 S대 학생들의 교수ㆍ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 분석에 기초한 교수ㆍ학습지원방안 고찰
- 초등교사 수업의 획일화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교육 실습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 성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