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395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arried Immigrant Moth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arental Rol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임영희(Lim Young hee) 이병환(Lee Byung hwan) 권인탁(Kwon In tak)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301~324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부모역할 인지 및 그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양육효능감, 역할만족감, 양육태도 및 행동 등에 관한 심층면접과 현상학적 관찰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낮은 양육효능감을 갖고 있었고, 역할 만족감에서도 자녀와의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의 부재 등으로 인해 역할 만족도 낮았으나, 프로그램 참여 후 다소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양육태도 및 행동에 대한 이주여성의 부모역할의 경험은 대부분 피동적이고 보다 적극적이지 못했다. 그 밖에 결과는 가정의 유형 및 참여한 프로그램(지역 및 기관)에 따라 부모역할에 대한 인지 정도와 양상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제공자의 역할 기대와도 차이를 보였다. 향후에는 이주여성의 실천가이드 및 부모역할 수행의 코칭,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 내용이 추가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arried immigrant mot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Parental Role b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do so, research methods were used during in-depth interviews and phenomenological observation related to child-rearing efficiency, role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behavior and attitudes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most of the married immigrant mothers had low child-rearing efficiency. Second, role satisfaction was low due to insufficient relation formation and communication. However these were improved slight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ird, married immigrant mothers' experiences of parental role were passive. Finally, the programs they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and tendency of parental ro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y need practice guides and programs related to married immigrant mothers' coaching and mentoring for positive parental rol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 경험학습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 멘토링 참여 대학생 멘토의 열린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동ㆍ서독의 정치 이념 변화에 따른 체육교육 정책 변화 양상 탐색
-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 한국 초ㆍ중등 교육의 책무성 연구 동향 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ㆍ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
- 반복측정 자료를 다루는 교육 연구 실태 분석
- 실행연구를 통한 진로저널 프로그램의 효과
- 수도권 S대 학생들의 교수ㆍ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 분석에 기초한 교수ㆍ학습지원방안 고찰
- 초등교사 수업의 획일화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교육 실습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 성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