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이용수 1,289
- 영문명
- Bystanders role in the context of bullying research trends and task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안효영(Ahn Hyo young) 진영은(Chin Young e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95~117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직접 당사자인 가해자, 피해자 보다 주변인인 일반 학생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변인 연구는 이러한 다수의 역할행동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또래괴롭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다룬 국내의 학술지 논문, 석ㆍ박사학위논문 총 57편을 분석하였다.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주변인의 역할을 유형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주변인은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의 역할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방어자는 대부분의 특성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동조자와 강화자는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동조자 및 방관자는 방어자와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특성, 학교환경 및 사회적 인지, 가족환경, 도덕변인으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또래괴롭힘 상황에 있는 주변인들은 다른 역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과 학교환경은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래괴롭힘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과제로 주변인 역할의 사회생태관점에서의 이해, 주변인 역할의 변화 가능성에 초점 맞추기, 방어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교육과 환경 조성, 질적연구의 확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변인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또래괴롭힘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bystanders in bullying situations. In any general student population, there are many more bystanders than there are bullies and victims directly associated with bullying. Bystanders research starts from the idea that to reduce bullying one must understand role behaviors. For this, a total of 57 papers of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that researched the role of bystanders in dealing with bullying situations.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 studied divided the bystander roles into assistants, reinforcers, defenders, and outsiders. When analyzing these roles, defenders showed the most positive characteristics. Assistants showed similar properties with reinforcers. And, assistants and outsiders contrasted with the defenders. This study survey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variables as factors that affect the role behaviors of bystanders. Depending on these factors, bystanders' role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exhibited differe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 in particular, had a major influence on bystanders' role behaviors. This paper suggests practical tasks to be made based on the research of bystanders' roles to help reduce bullying. The tasks are understanding the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of the role of bystander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hanging bystanders' roles, to educate and create a positive atmosphere for a defenders actions, and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The broadening of the understanding of bystander's roles throughout this study was done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bullying.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 멘토링 참여 대학생 멘토의 열린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동ㆍ서독의 정치 이념 변화에 따른 체육교육 정책 변화 양상 탐색
-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 한국 초ㆍ중등 교육의 책무성 연구 동향 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ㆍ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
- 반복측정 자료를 다루는 교육 연구 실태 분석
- 실행연구를 통한 진로저널 프로그램의 효과
- 수도권 S대 학생들의 교수ㆍ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 분석에 기초한 교수ㆍ학습지원방안 고찰
- 초등교사 수업의 획일화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교육 실습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 성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