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도권 S대 학생들의 교수ㆍ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 분석에 기초한 교수ㆍ학습지원방안 고찰
이용수 334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Based on the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in the 'S'College in the Capital Reg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미(Jeon Young m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65~94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대학생들의 교수ㆍ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수ㆍ학습지원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 수업외 활동, 교수ㆍ학습과정에서의 상호작용, 학습성과, 교수ㆍ학습지원체제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의 학생들의 참여를 분석하였으며, 대학 전체적인 현황 및 대학내 집단간 비교, 학습성과 영향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학습성과는 학년과 자기주도적 학습과 관련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내 구성원, 특히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낮았으며, 학습성과, 수업 내 자기주도적 활동도 낮았고, 교수ㆍ학습지원체제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 또래친구, 선배, 다문화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킬 것과 수업에서의 창의력과 사고력 개발 활동 확대, 글쓰기 지원, 자기주도적 학습 등을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으며, 신입생, 남학생 등과 같은 대학내 다양한 집단의 특성과 계열별 특성에 적합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s the first step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qualities. This study analyzed 5 categories: involvement in and out of instruction, faculty-Student interaction, teaching-learning outcomes, and the system of student support. The Research method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use of a questionnaire and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developed by KEDI in 2012. As well, the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major-level of satisfaction in teaching-learning and optional-level of satisfaction in teaching-learning were good, however, the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s were low. In addition, the writing attitude and learning outcomes were not satisfactory. Student-faculty interaction, high-order thinking activities and active involv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enhance active involvement in instruction, high-order thinking activities, writing skills, and interaction with faculty for the improvement inthequality of higher education. Also, discrepancies in various groups and college maj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qual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 멘토링 참여 대학생 멘토의 열린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동ㆍ서독의 정치 이념 변화에 따른 체육교육 정책 변화 양상 탐색
-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 한국 초ㆍ중등 교육의 책무성 연구 동향 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ㆍ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
- 반복측정 자료를 다루는 교육 연구 실태 분석
- 실행연구를 통한 진로저널 프로그램의 효과
- 수도권 S대 학생들의 교수ㆍ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 분석에 기초한 교수ㆍ학습지원방안 고찰
- 초등교사 수업의 획일화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교육 실습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 성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